국제 국제일반

인력난에도 채용 못해…日기업 사연은?

작년 유효구인배율 1.25배 3년만에↓

수치상 인력난 완화지만 체감은 글쎄

일손 부족에도 비용증가에 채용 자제





일본의 지난해 연간 유효구인배율이 3년 만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상으로는 인력난이 완화됐다는 의미지만, 실상은 사정이 어려운 기업들이 채용을 꺼려 구인 수가 줄어든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31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후생노동성은 이날 일본의 2024년 유효구인배율이 1.25배로 전년 대비 0.06포인트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유효구인배율은 구직자 한 명당 일자리 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 수치가 높을수록 인력난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직자 한 사람당 1.25개의 일자리가 있다는 이야기다.



숫자만 놓고 보면 인력 부족 움직임이 다소 진정됐다. 그러나 공급자(구직자) 대비 수요(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일자리 수)가 한 풀 꺾인 실제 배경은 다른 데 있다는 지적이다. 일손 부족은 여전히 심각하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비용 증가로 채용을 자제하는 기업들이 많아진 데 따른 결과라는 것이다. 코로나 19로 경제활동이 제한돼 내려간 유효구인배율은 지금도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수준(1.60배)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관련기사



월 평균 유효구인 수는 241만3695명으로 전년 대비 3.3% 줄었다. 후생성 담당자는 "건설업과 제조업에서 인력난이 있지만, 새로 사람을 고용할 여력이 없는 기업이 있다"고 설명했다. 2023년 숙박업, 외식업에서 구인이 크게 늘었던 데 대한 반작용도 일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유효구인배율 연도별 추이/NHK(일본 후생노동성)일본 유효구인배율 연도별 추이/NHK(일본 후생노동성)


후생성 통계에는 민간 사업자의 구인 지원 및 알선이 포함돼 있지 않아 이번 수치로 나타난 것보다 기업의 채용 수요는 더 높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유효구인배율은 일본은행이 경기와 물가 동향을 판단할 때 중요하게 보는 지표 중 하나다. 이 수치가 높아지면 기업들이 인력 확보를 위해 임금을 올리게 되고, 이는 소비 증가와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금리 인상의 주요 근거가 된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