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KDI “기초연금 지급 기준 바꾸자…저소득 노인 두텁게 지원해야”

◆기초연금 선정방식 개편방향 보고서

소득인정액 하위 70%→중위소득 50%

추가 재정지출 없이 기준연금액 인상가능

한국개발연구원(KDI) 이승희(왼쪽), 김도헌 연구위원이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KDI FOCUS '기초연금 선정방식 개편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한국개발연구원(KDI) 이승희(왼쪽), 김도헌 연구위원이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KDI FOCUS '기초연금 선정방식 개편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소득인정액 하위 70%’에 기초연금을 지급하는 선정방식을 ‘기준중위소득 100% 또는 50%’로 전환해야 한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제언이 나왔다. 노인 빈곤율이 점진적으로 완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에서 현 제도가 유지될 경우 과도한 재정 지출이 발생하기 때문에 저소득층을 두텁게 지원하는 쪽으로 제도를 손질하자는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김도헌·이승희 연구위원은 25일 이 같은 내용의 ‘기초연금 선정방식 개편방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현재는 노인 중 근로소득·자산소득·사업소득 등 소득평가액과 자산을 소득화한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소득인정액 하위 70%를 기초연금 수급자로 선정하고 있다.

관련기사



문제는 노인 빈곤이 점차 개선되면서 노인 인구 소득인정액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가구소득의 중윗값인 기준중위소득(2인 가구 기준) 대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2015년 56%에서 지난해 94%까지 올랐다. 조만간 사실상 중위소득에 가까운 노인까지도 ‘빈곤 노인’으로 분류돼 기초연금을 받게 된다는 의미다.

그러나 노인 빈곤율은 국민연금의 성숙도가 높아지면서 2050년에는 30%대, 2070년에는 20% 초반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연구진은 기초연금액을 2025년 수준인 월 34만 3000원으로 고정하고 이를 물가상승률에 연동해 현재와 동일하게 제도를 운영할 경우 기초연금액이 2070년 43조 원에 도달하리라고 내다봤다.

연구진은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로 고정하는 1안과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에서 50% 이하로 점진 인하하는 2안을 제시했다. 이로써 노인 중 기초연금 수급자 비율이 1안은 57%, 2안은 37%까지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또 2070년까지 누적 재정지출은 현행 대비 19%, 47%가량 각각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액수로는 8조 원, 20조 원씩 절약되는 셈이다. 연구진은 이렇게 절감된 재정지출을 활용해 기준연금액을 높인다면 저소득층 노인의 빈곤 완화에 더욱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추가적인 재정지출 없이 2026년의 기준연금액을 현행 39만 9000원에서 △1안 44만 1000원 △2안 51만 1000원으로 인상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