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與野 연금 ‘소득대체율 43%’ 접근…자동조정장치도 도입하라

연금 개혁이 국회의 주요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왼쪽)이 14일 열린 비상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연금 개혁이 국회의 주요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왼쪽)이 14일 열린 비상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14일 국민연금과 관련해 국민의힘이 제안한 ‘소득대체율(받는 돈) 43%’를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여야가 소득대체율과 보험료율(내는 돈)에서 의견 접근을 이루면서 연금 개혁 논의가 급물살을 탈지 주목된다.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가 지급 보장 명문화, 출산 및 군 복무 크레딧 확대, 저소득층 보험료 지원 확대 등 세 가지를 여당이 받아들이면 국민의힘이 주장해온 소득대체율 43%안을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여야는 모두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로 올리는 방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소득대체율에서는 국민의힘이 40%에서 43%로 높이는 안을 제시하고 민주당은 44%로 인상하자고 고집해왔다.



민주당이 우클릭과 좌클릭 노선을 오락가락하면서 국정협의회마저 결렬시킨 데 대한 비판 여론이 커지자 연금 개혁 방안에서 한발 물러선 것으로 보인다. 4%포인트 더 내고 4%포인트 더 받자는 민주당의 주장이 연금 개혁과 거리가 멀다는 지적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국민연금 기금은 1년에 32조 원씩 적자가 쌓이고 있다. 이대로면 2041년 적자로 전환된 뒤 2055년에 고갈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표심을 의식해 연금 개혁을 주저해온 여야가 뒤늦었지만 연금 개혁 합의를 시도하는 것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보험료율을 4%포인트 인상하더라도 소득대체율을 3%포인트 올리면 연금 고갈 시점이 당초 예상보다 8~9년 늦춰질 뿐이다. 게다가 민주당이 전제 조건으로 내건 저소득층 보험료 지원 확대는 연금 개혁 취지에도 어긋난다. 연금 안정을 명분으로 특정 계층 지원을 위해 나랏돈을 쏟아붓자는 것은 재정 건전성을 더 악화시킬 수 있는 포퓰리즘적 발상이다.

연금 제도를 지속 가능하게 하려면 소득대체율을 현행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보험료율을 여야가 의견을 같이한 13%보다 더 올리는 개혁을 해야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연금 보험료율 평균은 18.2%에 이른다. 가장 필요한 것은 인구·경제 상황에 따라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자동조정장치 도입이다. 이럴 경우 연금 가입자가 줄고 기대수명이 늘어나는 만큼 연금액을 삭감할 수 있다. 민주당이 진정한 연금 개혁을 추진하려면 자동조정장치 도입 반대를 접고 ‘더 내는’ 방식에 초점을 맞춘 연금 제도 수술에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