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15분 만에 전기차 충전 끝내는 배터리 나왔다

KASIT 최남순·홍승범 교수 연구팀

리튬이온 이동성 높인 배터리 개발

사진=이미지투데이사진=이미지투데이




전기차의 고속 충전 속도를 기존의 절반 수준인 15분으로 단축할 수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7일 최남순·홍승범 교수 공동 연구팀이 리튬이온 배터리의 리튬이온 이동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전해질 용매 '아이소부티로니트릴'(isoBN)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전기차에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 음극, 액체전해질로 구성된다. 기존에는 주로 에틸렌 카보네이트(EC)가 전해질 용매로 쓰였는데, EC는 높은 점성과 강한 용매화로 인해 고속충전을 할 때 리튬이온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리튬 이온이 전해질만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음극 계면층(배터리 제조 후 최초 충전 시 음극재 표면에 생기는 고체막) 위에 금속 리튬이 전착 돼 배터리 수명을 줄이고, 화재 위험성을 높이는 단점도 있었다. 리튬 전착은 리튬 이온이 흑연 층상구조로 삽입되지 못하고 표면에 금속 형태로 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왼쪽부터)송채은 박사과정, 최영우 석박사통합과정, 최남순 교수, 한승희 박사과정 . 사진제공=KAIST(왼쪽부터)송채은 박사과정, 최영우 석박사통합과정, 최남순 교수, 한승희 박사과정 . 사진제공=KAIST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리튬이온과 약한 결합을 하는 ‘isoBN 용매’를 도입해 용매화 구조를 조절하고 음극 계면층 형성을 최적화함으로써 리튬이온 이동성을 높였다. 새로운 시스템을 활용하면 기존 EC 전해질 대비 점성은 55% 낮출 수 있으며, 이온전도도는 54%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고속 충전 시간도 기존 30분에서 15분으로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 연구팀은 “300차례 충·방전한 결과 리튬 전착 없이 94.2%의 리튬 용량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시스템은 추후 전기차는 물론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드론, 우주 항공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지난 11일 자로 실렸다.


서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