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韓 연구진, 간 섬유화 신약 후보물질 찾았다

GIST·KAIST, 동물실험서 효능 확인

간경변·간암 발전 위험에도

FDA 승인 치료제 1종 불과

간섬유화 신약 후보물질 19c의 분자구조(왼쪽)와 효능 실험 결과. 사진 제공=GIST간섬유화 신약 후보물질 19c의 분자구조(왼쪽)와 효능 실험 결과. 사진 제공=GIST





국내 연구진이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간 섬유화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했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간 섬유화 치료제가 1건에 불과한 상황에서 치료 선택지를 넓힐 신약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안진희 화학과 교수와 김하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공동 연구팀이 말초 조직에 작용하는 세로토닌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간 섬유화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성과는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메디컬 케미스트리(JMC)’에 이달 6일 게재됐다.

간 섬유화는 알코올 남용, 비만, 자가면역 질환, 바이러스 감염 등으로 간 세포가 손상돼 세포외기질이라는 세포 구성물이 과도하게 축적되면서 간 구조와 기능이 망가지는 질환이다. 심해지면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치료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아직 FDA 승인을 받은 간 섬유화 치료제는 ‘레스메티롬’이 유일하며 효능은 위약군 대비 12~14% 정도 개선 효과 수준이라 신약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연구팀이 발굴한 후보물질 ‘19c’는 동물실험을 통해 세포외기질 축적을 줄이는 효과가 확인됐다. 또 간 섬유화를 일으키는 다양한 단백질 발현도 억제했다. 안 교수는 “19c는 섬유화 효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갖춘 약물”이라며 “향후 임상 연구를 통해 안전성과 효능이 입증되면 실질적인 치료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윤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