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귀여워서 우리 애 사줬는데"…어린이용 캐리어 '발암물질' 범벅

25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서울YWCA 생명운동팀 관계자가 시중에 판매되는 어린이용 캐리어 12개 브랜드, 13개 제품의 가격과 품질, KS규격과 어린이 제품 공통 안전기준에 따른 내구성·사용성 등 품질 관련 10개 시험평가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뉴스125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서울YWCA 생명운동팀 관계자가 시중에 판매되는 어린이용 캐리어 12개 브랜드, 13개 제품의 가격과 품질, KS규격과 어린이 제품 공통 안전기준에 따른 내구성·사용성 등 품질 관련 10개 시험평가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뉴스1




시중에 판매 중인 어린이용 캐리어에서 유해물질이 기준치의 최대 70배까지 검출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YWCA가 25일 발표한 어린이용 캐리어 품질 비교 결과를 보면 조사 대상 13개 제품 중 5개 제품(키즈비전, 비박, 레이빌라, 규티앤펄스 2개)이 유해화학물질 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특히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5개 제품에서 기준치의 1.6~70배까지 검출됐다. 이 물질은 내분비계 장애 물질로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눈, 피부 등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납은 3개 제품에서 기준치의 30~40배로 검출됐는데 이는 생식기능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발암물질이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는 2개 제품에서 2.5~10.8배 초과 검출됐는데 이는 유전 독성과 발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드뮴은 1개 제품에서 1.3배 초과 검출됐다.

관련기사



내구성 측면에서는 주행내구성, 손잡이 부착강도 등에서 모든 제품이 품질기준을 충족했으나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파손, 기능 이상 여부 등을 확인하는 내충격성 시험에서 키즈비전과 레이빌리 2개 제품이 기준 미달로 나타났다.

사용성과 물리적 안전성은 전 제품이 기준을 충족했지만 표시 사항에서는 아가방, 큐티앤펄스, 핑크퐁 3개 제품이 겉감 뒷면 재질 표기가 일부 달라 수정 절차를 거쳤다.

서울YWCA는 "성장기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만큼 안전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이번 조사 결과 대부분의 제품이 양호한 내구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제품이 유해화학물질 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지적헀다.

이어 "소비자들은 제품 구매 시 가격과 기능뿐 아니라 KC인증 여부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강민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