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안간 예측도 못했던 중대한 정치 사안이 생겨도 우리나라는 수습이 빨라. 우리는 가장 리얼리티를 걷는 기업가들이니까 불안 요소 때문에 괜히 우리까지 들뜰 필요는 없다고 난 생각해. 우리가 '정치가 불안할수록 경제까지 망가지면 안된다'는 사명감을 가져야 경제가 나빠지지 않는 거야." (고 최종현 SK(034730)선대회장, 1980년대 중반 임원급 신년 간담회)
1970∼1990년대 한국 경제 성장기를 이끈 주역 중 한 명인 고 최종현 SK선대회장의 경영철학을 담은 일명 '선경실록'이 유고 27년 만에 세상에 나온다.
SK는 그룹 수장고 등에 보관해 온 최 선대회장의 경영철학과 기업활동 관련 자료를 발굴해 디지털로 변환, 영구 보존하는 '디지털 아카이브' 프로젝트를 지난달 말 완료했다고 2일 밝혔다. 2023년 '창사 70주년 어록집'을 제작·발간하는 과정에서 옛 자료의 역사적 가치를 확인하고 프로젝트를 추진한 지 2년 만이다.
이번에 복원한 자료는 오디오·비디오 약 5300건, 문서 3500여건, 사진 4800여 건 등 총 1만7620건, 13만1천647점이다. 최 선대회장의 음성 녹취만 오디오 테이프로 3530개로 하루 8시간 연속 들어도 1년 이상 시간이 걸릴 분량이다.
최 선대회장은 사업 실적·계획 보고, 구성원과의 간담회, 각종 회의와 행사 등을 녹음해 원본으로 남겼다. SK 고유의 경영관리체계인 SKMS를 정립하고 전파하는 과정, 그룹의 중요한 의사결정 순간에서 임직원과 토론하는 장면, 국내외 저명인사와의 대담 내용 등이 상세하게 보존됐다. SK측은 "최 선대회장은 기록을 남겨 그룹의 경영 철학과 기법을 발전시키고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기업 경영의 수준을 높이고자 했다"며 "이 같은 방침은 SK 고유의 기록 문화로 계승됐다"고 설명했다.
최 선대회장의 육성 녹음에는 사업보국에 대한 의지, 당시의 경제 상황, 크고 작은 위기를 돌파해 온 선대 경영인의 혜안이 고스란히 담겼다. 최 선대회장은 1982년 신입구성원과의 대화를 통해 “땅덩어리가 넓은 미국에서도 인재라면 외국 사람도 쓰는 마당에 한국이라는 좁은 땅덩어리에 지연, 학연, 파벌을 형성하면 안된다”며 한국의 관계지상주의를 깨자고 임기 내내 여러 차례 강조한다. 1992년 임원들과 간담회에서는 “R&D(연구개발)를 하는 직원도 시장 관리부터 마케팅까지 해보며, 돈이 모이는 곳, 고객이 찾는 기술을 알아야 R&D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며 HBM(고대역폭메모리)의 성공 과정을 미리 예견한 듯 실질적인 연구를 주문한다.
SK의 성장 과정도 최 선대회장의 목소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세계경제 위기를 몰고 온 1970년대 1·2차 석유파동 당시 정부의 요청에 따라 최 선대회장이 중동의 고위 관계자를 만나 석유 공급에 대한 담판을 짓는 내용, 1992년 획득한 이동통신사업권을 반납할 때 좌절하는 구성원을 격려하는 상황 등이 음성 녹취에 담겨있다.
SK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자료를 그룹 고유의 철학인 SKMS와 수펙스추구 문화 확산 등을 위해 활용할 방침이다. SK 관계자는 “최 선대회장의 경영 기록은 한국 역동기를 이끈 기업가들의 고민과 철학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보물과 같은 자료”라며, “양이 매우 많고 오래되어 복원이 쉽지 않았지만 첨단기술 등을 통해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