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수소트램, 도심형 대용량 간선급행버스(BRT) 등 광역교통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청사진을 2일 밝혔다. 긴급 노선 변경, 지자체 간 이해 관계 조정 등을 통해 주먹 구구식으로 광역 교통 체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보다는 신기술 개발을 통해 광역 교통의 혼잡도 등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차원에서다.
대광위는 이날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광역교통 기술개발 로드맵 설명회를 개최했다. 설명회에는 한국교통연구원, 대한교통학회,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등 광역교통 관련 7개 기관에서 교통분야 전문가 약 10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로드맵은 현장에 적용해 광역교통 개선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은 과제 위주로 구성됐다. 대광위 관계자는 “김포골드라인의 경우 열차 증변, 광역버스 증차 등을 통해 광역 교통문제를 해결했다”며 “이런 방식 보다는 광역교통 기술개발을 통해 더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나가기 위해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대광위가 제시한 구체적인 기술 개발 목표 중 하나는 수소 트램이다. 대광위는 수소트램의 국가 인증기준 마련을 위해 시제차량을 제작하고 수소충전소를 포함한 영업노선에서 실증하는 것을 목표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BRT(간선급행버스) 차량의 다양성 확보를 통해 도시여건, 수송량 등 지역별 특성에 적합한 고품질의 대용량 BR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도 개발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차세대 철도신호체계 구축 △환승센터 통합 운영 등을 위한 기술 개발 청사진도 제시됐다.
강희업 대광위 위원장은 "이번 설명회에서 제기된 의견을 로드맵 최종안 수립 시 충분히 반영하고, 로드맵이 제대로 실현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 협의에 주력할 계획"이라며 "이러한 기술개발로 빠르고 편리한 광역교통 서비스를 공급함으로써, 국민에게 여유로운 일상을 돌려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