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여한구 "국내기업 '對美투자 패키지'로 트럼프 신뢰 얻어야"

트럼프 1기 카운터파트 여 전 본부장

한경협 세미나에서 "차분한 대응 필요"

"투자 계획 모아서 트럼프 신뢰 얻어야"

여한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이 3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트럼프 상호관세,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세미나에서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경협여한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이 3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트럼프 상호관세,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세미나에서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경협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기업들이 뭉쳐서 ‘대미(對美) 투자 패키지’를 제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쳐 이른바 ‘패키지 딜’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여한구 전 통상교섭본부장은 3일 한국경제인협회 주최로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린 ‘트럼프 상호관세,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세미나에서 대미 통상 문제에 대해 이 같은 해법을 제안했다. 여 전 본부장은 국내 대표적 통상 전문가로 트럼프 행정부 1기에도 관세 협상을 주도한 바 있다. 그는 현재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관련기사



여 전 본부장은 “한국이 미국 내 반도체·자동차·배터리 등 주요 업종 투자에서 중요한 기여를 했는데 25% 상호관세를 부과한 건 높게 나왔다고 생각한다”면서 “우리의 실질 관세율이 무관세에 가깝다는 점이 제대로 고려됐는지 모르겠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얼마든지 협상의 여지가 있다”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당당하게 협상에 임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 전 본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정책 결정을 주도하는 ‘톱다운(top-down)’ 스타일인 것을 주목해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결정하고 장관이나 실무자는 메신저 역할을 한다”면서 “정상 대 정상으로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만나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그 점이 안 돼 아쉽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른 시일 내 국내 정치 환경이 안정돼 대미 협상에 힘을 실어줘야 더 좋은 합리적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여 전 본부장은 "기업들이 각자도생식으로 여기서 한 번, 저기서 한 번 발표하기보다 우리 기업들이 (투자 계획을) 모아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시점에 발표해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크레디트(신뢰)를 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과 협력이 미국의 ‘관세 폭탄’에 따른 충격을 줄일 수 있는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도 제안했다. 그는 “한일 간 전략적 얼라인(동맹)이 강화됐다고 본다”며 “미국과 중국에 대응하는 일본의 처지가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일이 협력한다면 대미 협상력은 배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