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차봇모빌리티, 성균관대·한양대 경영학회와 산학협력 프로젝트 성료

차봇모빌리티 산학협력 프로젝트에서 수상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차봇모빌리티차봇모빌리티 산학협력 프로젝트에서 수상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차봇모빌리티





차봇모빌리티가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미래 모빌리티 전략을 발굴하며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가치 실현과 인재 양성에 나섰다.

모빌리티 컨시어지 플랫폼 차봇모빌리티는 성균관대학교 경영학회(S.ONE)와 한양대학교 경영학회(HESA)와 함께 진행한 산학협력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고 3일 밝혔다.



지난 3월 12일부터 4월 2일까지 약 3주간 진행된 이번 프로젝트는 '차봇모빌리티×S.ONE-HESA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대학생들의 신선한 시각을 통해 차봇모빌리티의 실제 사업 과제를 해결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모빌리티 산업의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ESG 활동의 일환으로 기획됐다. 특히 실무 기반의 문제 해결 경험을 통해 학생들에게는 경영 전략 수립의 현장 감각을 키우는 기회를 제공하며, 기업에게는 미래 고객인 MZ세대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수용할 수 있는 열린 혁신의 장을 마련했다.

관련기사



프로젝트에는 총 3개 팀이 참여해 '자동차 금융 세일즈 모델 구축'과 ‘차봇 앱 기반 오토커머스 수익화 전략’ 등 실제 기업 과제를 중심으로 전략적 솔루션을 제시했다. 참가 학생들은 프로젝트 기간 동안 차봇모빌리티의 실무진과 긴밀히 협력하며 시장 분석, 타겟 고객 니즈 도출, 비즈니스 모델 설계 등 다양한 과제를 수행했다. 차봇모빌리티는 각 팀의 제안서 초안에 두 차례 피드백을 제공하며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였다.

4월 2일 진행된 최종 발표회에서는 각 팀이 3주간 준비한 결과물을 발표하고, 내부 평가 기준에 따라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이 선정됐다. 대상의 영예는 한양대 HESA팀이 안았다. 이팀은 일반 고객을 위한 금융 세일즈 모델 전환 전략을 통해, 온라인 구매 여정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장 트렌드에 적합한 차별화된 신차 구매/금융 서비스를 설계해 실현 가능성과 전략적 통찰을 인정받았다.

최우수상은 성균관대학교 S.ONE 1팀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차봇앱을 통한 오토커머스 수익화 전략'을 주제로, 차봇 앱을 통한 오토커머스 여정(Journey) 전반에 걸친 수익화 전략을 제시했으며, 차량 구매부터 결제, 보험, 관리, 폐차에 이르기까지 유저의 신뢰를 기반으로 플랫폼 전환의 방향성을 강조했다. 특히 "믿고 맡길 수 있는 오토커머스 플랫폼"이라는 포지셔닝 전략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우수상은 성균관대학교 S.ONE 2팀이 수상했다. 해당 팀은 오토커머스 수익화 전략과 관련해, 차량 관리 서비스, 오토 서비스 멤버십 등 세부적이고 연결성 높은 USP(차별화 요소)를 중심으로 수익 모델을 구성했으며,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병행 제안을 통해 시장 실행력을 강조했다.

차봇모빌리티는 본 프로젝트에서 도출된 우수 제안 중 일부를 향후 실제 신사업 기획과 플랫폼 고도화 과정에 참고할 예정이다. 다양한 관점에서의 전략적 접근은 오토커머스와 자동차 금융 서비스의 경쟁력 강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차봇모빌리티는 우수한 성과를 보인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턴십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차봇모빌리티 강병희 부대표는 “이번 산학협력 프로젝트는 기업과 미래 인재가 함께 고민하고 배우는 상생의 과정으로, MZ세대의 관점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고민하는 뜻깊은 기회였다”라고 전하며, “앞으로도 차봇모빌리티는 ESG 경영의 일환으로 산학협력을 통한 인재 양성과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에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