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서울 시민들이 70.2세부터를 노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10명 중 9명 가까이는 정년연장에 동의한다고 9일 밝혔다.
올해 발표된 ‘2024 서울서베이’ 결과에서는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시민들의 인식 변화가 두드러졌다.
서울서베이에서 5,000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1.7%가 70~74세를 노인이라고 답했다. 주목할 점은 65세 이상 응답자들은 노인 기준 연령이 72.3세로 답했다는 점이다. 이는 65세 미만 응답자(69.8세)보다 2.5세는 더 높은 결과다.
응답 내용 전반으로 노인 기준 연령은 현행 법령상 노인 기준인 65세보다 상당히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평균 수명 연장과 함께 노인에 대한 시민들의 사회적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고령화에 따른 정년 연장에 대해서도 87.8%가 동의해 압도적인 찬성 의견을 보였다. 적정 은퇴 시기로는 ‘65~69세’(40.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은퇴 후 적정 월 생활비는 ‘250만 원 이상’이 53.3%로 절반을 넘었다. 월 생활비에 관한 해당 응답은 2022년 45.6%, 2023년 47.1%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다.
특히 65세 이상 시민들은 노후 희망 활동으로 ‘손자녀 양육’(33.5%)보다 ‘취미/교양활동’(78.8%)이나 ‘소득창출’(70.3%)을 선호했다. 주거 형태도 ‘자녀와 거주(4.7%)’보다 ‘자녀들과 가까운 독립된 공간에서 혼자 사는 것’(64.8%)을 원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1인 가구 비율도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내 2만 가구의 가구원 3만 6,280명을 조사한 결과,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율은 39.3%로 나타났다. 또한 1인 가구 지속기간은 평균 8.01년이었다. 주목할 점은 1인 가구 연령대 중 60세 이상이 40.6%로 가장 많았다는 점이다. 이어서 2030대가 34.9%, 4050대 24.5% 순이었다.
1인 가구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균형 잡힌 식사’(4.79점)가 꼽혔으며, ‘아프거나 위급시 대처’(4.71점) 등이 뒤를 이었다. 향후 1인 가구 유지 의향에 대해서는 52.2%가 '있다'고 답했는데, 이는 전년(66%) 대비 13.8%p 감소한 수치다.
올해 발표된 ‘2024 서베이 조사 분석 결과 보고서’는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