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자폐증 진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부 장관이 급증 원인 규명을 지시했다.
15일(현지시간)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미국 내 자폐증 아동 비율은 2000년 150명당 1명에서 2022년 31명당 1명으로 급증했다. 1960~70년대 연구에서는 약 5000명당 1명 수준이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최신 보고서는 지역별 편차도 크다고 밝혔다. 텍사스 일부 지역은 100명당 1명꼴로 진단됐지만, 샌디에이고에서는 19명당 1명이 자폐증 진단을 받았다.
인종별로는 백인보다 아시아계, 흑인, 히스패닉계 어린이의 자폐증 진단 비율이 더 높았다. 전문가들은 "인식 확대와 검사 증가가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뉴저지 러트거스대 월터 자호로드니 박사는 "캘리포니아는 오랜 역사의 검진·조기 개입 프로그램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케네디 장관은 지난달 국립보건원에 자폐증 비율 증가 원인을 오는 9월까지 규명하도록 지시했다. 그는 최근 백악관 각료회의에서 "전 세계 수백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연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백신 회의론자로 알려진 케네디 장관은 특히 백신과 자폐증 관련성 연구를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회의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자폐증은 유전적 요인, 부모 고령화, 대기오염, 살충제 노출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다. 주요 원인 규명엔 장기간 연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캘리포니아대 데이비스 마인드 연구소 어바 허츠-피치오토 박사는 "9월까지 원인 규명은 터무니없다"고 비판했다.
미국자폐증협회는 성명에서 "과학적 근거 기반의 엄격한 연구가 필요하다"며 "연구 주도자, 방법론, 과학적 기준 충족 여부에 대한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자폐증옹호네트워크 조 그로스 책임자는 "열린 마음의 접근이 아닌, 특정 요인이 자폐증을 유발한다는 선입견을 가진 채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