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본다는 것은 불편함의 재미를 일깨워줍니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과 다르게 관객의 사정에 맞춰주지 않는 극장이라는 큰 존재와 만나는 불편함이 사람들에게 중요한 경험이 아닐까 싶습니다.”
일본 영화계의 거장 고레에다 히로카즈(사진) 감독은 29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OTT로 주도권이 넘어간 시대에도 영화관에 가야 하는 이유를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씨네큐브가 개관 25주년을 맞아 6일까지 개최하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특별전’ 참석을 위해 한국을 찾았다. 특별전에서는 ‘원더풀 라이프’ ‘아무도 모른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어느 가족’ 등 그의 작품 13편을 볼 수 있다.
고레에다 감독은 “첫 작품부터 1996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꾸준히 선보여 이제 한국은 외국 같지 않은 느낌"이라고 말했다. 한국에서 그의 작품을 좋아하는 이유를 묻자 “자주 와서 그런 것 같다”며 “맛있는 한국 음식을 먹으러 왔다가 일을 하는 것 같다”고 답했다. 이어 “이번에도 도착하자마자 간장게장을 먹었다”고 했다.
2018년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어느 가족’을 비롯해 그의 작품은 평범한 이야기 속에 소외된 인물들이 등장해 우리가 외면했던 메시지를 넌지시 던지는 경우가 많다. 그는 “가족, 사회, 사건을 다루겠다는 생각보다 그때 그때 마음에 걸리는 것을 부풀려 나가는 형태로 작품을 만드는 게 룰”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영화 특유의 잔잔함 때문에 한국의 젊은 세대에게 그의 작품은 다소 낯설 수도 있다. 고레에다 감독은 “일본의 10대도 제 영화를 보지 않는데 봐주면 좋겠다”고 말하며 웃어 보였다. 이어 “10대 때 제 작품을 이해하지 못하다가 40대가 돼서 다시 보고 깨달음을 얻었으면 한다”며 “영화는 그런 식으로 관객과 재회하는 미디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코로나19 이후 한국 영화계는 혹한기를 겪고 있다. 한국이 OTT 시장으로 빠르게 쏠린 이유에 대해서도 나름의 분석을 내놓았다. 그는 “일본에서는 아트하우스나 소규모 극장이 폐업 위기에 처하자 영화 팬들이 모금에 나서 소규모 극장에 나눠 줬다”며 “아직 확고한 영화 팬들이 있어 창작자들이 용기를 얻고 있다”고 전했다. 또 “일본은 변화에 느려서 그런 것인데 한국은 변화가 빠르다”며 “이러한 특징이 양국 영화·OTT 시장의 차이를 만든 게 아닐까 싶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