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저소득층엔 소비쿠폰 대신 현금으로 줘야"

[소비지원금의 그늘]

예정처, 추경안 분석 보고서 공개

신속지급…사용자 효용 가장 높아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이 23일 정부세종청사 민원동 중회의실에서 열린 민생 회복 소비쿠폰 범정부 TF 1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이 23일 정부세종청사 민원동 중회의실에서 열린 민생 회복 소비쿠폰 범정부 TF 1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 국민 1인당 15만~52만 원이 차등 지급되는 민생 회복 소비쿠폰을 저소득층에 한해 현금으로 지급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과거 사례를 볼 때 신속한 지급이 가능하고 지역·업종 제한이 없어 사용자의 효용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2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분석 보고서’를 공개했다.



예정처는 민생 회복 소비쿠폰에 대해 “지급 수단에 대한 선택권 부여 시 사용 편의성에 따라 신용·체크카드에 쏠림이 나타날 수 있다”며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정책적 목적을 고려해 면밀한 유인 구조를 설계해야 하며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현금 지급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실제로 2020년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할 당시 전체 2216만 가구 중 66.1%에 해당하는 1464만 가구가 신용·체크카드로 지원금을 신청했다.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을 선택한 가구는 7.8%에 해당하는 173만 가구에 불과했다.

예정처는 기초생활수급자 등에는 민생 회복 소비쿠폰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것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신속성 측면에서 타 지급 수단 대비 압도적이기 때문이다. 과거 사례를 보면 현금 지급은 행복e음에 등록된 정보를 활용해 신청 당일 오후에 지급이 완료된 반면 신용·체크카드는 약 9~10일, 지역화폐와 선불카드는 14일 이상의 시간이 걸렸다.

예정처는 “높은 한계 소비성향, 낮은 소비 지연, 사용의 편의성 제고, 상품권 및 카드 추가 발행 비용 절감 측면 등을 고려해 저소득층에는 민생 회복 소비쿠폰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민생 회복 소비쿠폰 사업의 차질 없는 시행을 위해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달 23일 첫 회의를 연 바 있다. 현재 행안부는 민생 회복 소비쿠폰의 지급 수단으로 현금은 고려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으나 추후 협의 과정에서 일부 가능성은 열어두겠다는 입장이다.


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