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VIP 격노설' 김계환 12시간 특검 조사…"추가 소환도 검토"

직권남용 혐의 피의자 신분…박정훈에 '격노' 최초 전달자로 지목

수사 외압 규명 '키맨'…임성근 과실치사 혐의 참고인 조사도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이 채상병 사건 수사방해 의혹과 관련 조사를 받기 위해 7일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특검 사무실로 향하고 있다.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이 채상병 사건 수사방해 의혹과 관련 조사를 받기 위해 7일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특검 사무실로 향하고 있다.




해병대 채상병 사건 수사방해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순직해병특검팀이 7일 'VIP 격노설'을 규명할 핵심 인물인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불러 12시간 동안 조사했다.



김 전 사령관은 윤석열 정권 당시 대통령실로부터 수사외압 의혹의 발단이 된 VIP 격노설을 전달받은 것으로 지목된 인물이다. 특검은 이날 조사에서 격노설의 실체를 집중적으로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이날 오전 10시 20분께 서울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 출석한 김 전 사령관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관련 참고인 조사까지 받고 오후 10시 30분께 집으로 돌아갔다. 그는 귀갓길 '박정훈 대령에게 VIP 격노 언급한 적이 없느냐' 등의 취재진 질문에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았다.

VIP 격노설은 윤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대통령실 회의에서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 받은 뒤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며 '격노'했고, 경찰이첩을 보류시키고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결과를 바꾸게 했다는 의혹이다.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은 김 전 사령관이 같은 날 오후 5시께 자신을 사령관 집무실로 불러 윤 전 대통령의 격노를 전해줬다고 밝혔지만, 김 전 사령관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공개된 통화기록을 보면 김 전 사령관은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57분 이종섭 전 장관과 통화했고, 당일 오후 5시에는 임기훈 당시 대통령실 국방비서관과 약 3분간 통화했다.

관련기사



특검은 이날 김 전 사령관 조사에서 통신기록과 당일 행적을 토대로 대통령실과 이 전 장관으로부터 받은 지시내용을 캐묻고, 윤 전 대통령 격노 관련 발언의 진위를 집중적으로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김 전 사령관이 VIP 격노를 언급했다는 박정훈 대령 외 또 다른 해병대 간부의 진술 등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 과정에서 수집된 정황 증거도 조사 과정에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사령관은 그간 법정과 국회 등에서 증언할 때 VIP 격노 관련 발언을 부인해왔다.

일각에선 지난해 12월 전역 후 민간인 신분이 된 김 전 사령관이 특검 조사에서 이전과 달리 입을 열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특검 관계자는 이날 김 전 사령관의 진술 방향에 관해 확인해줄 수 없다면서도 김 전 사령관의 추가 소환 조사를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특검은 이날 김 전 사령관을 상대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와 구명로비 의혹, 허위보고 혐의 등에 대한 참고인 조사도 함께 진행했다.

'VIP 격노설' 김계환 12시간 특검 조사…"추가 소환도 검토"


채민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