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산업·해수부 '기싸움'…해수장관 "조선업, 해수부가 가져야"[Pick코노미]

전재수 해수부 장관 24일 취임

산업장관 "日 조선업, 옮겼다 망해"

해수장관 "산업장관, 사례 다시 확인해야"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24일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24일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재수 신임 해양수산부 장관이 취임 직후 “조만간 정부 조직 개편과 관련한 토론이 있을 것”이라며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에 있는 조선해양플랜트 업무를 해수부로 이관하는 방안을 강력히 주장하겠다”고 예고했다. 금융위원회·기획재정부 분리, 기후에너지부 신설 등 새 정부 조직 개편 방안이 수면으로 떠오른 가운데 대형 산업인 조선업을 둘러싼 해수부와 산업부 간 대립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4일 전 장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을 마친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해양 정책과 산업 정책이 조화되려면 조선해양플랜트 산업을 해수부로 이관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현재 해수부는 해운업만 담당하고 있는데 배를 건조·수리하는 조선업도 함께 담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 장관은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조선업 해수부 이관에 반대 입장을 낸 데 대해서도 대립각을 세웠다. 김 장관은 앞서 17일 국회에서 진행된 산업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조선업은 단순히 물류, 해운만 연관돼 있는 산업이 아니라 다양한 산업이 얽힌 복합 산업”이라며 “일본이 조선 산업에서 경쟁력을 잃게 된 데는 조선과 해운을 국토부로 합치면서 산업 간 연계성을 놓쳤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어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관련기사



관련해 전 장관은 “그런(복합 산업이라 안 된다는) 식이면 한도 끝도 없다”며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 사례는 김 장관이 다시 확인을 해야할 것 같다”며 “일본 조선업은 망가진 뒤에야 옮겼기 때문에 돌이킬 수 없었던 상황”이라고도 강조했다.



산업·해수부 '기싸움'…해수장관 "조선업, 해수부가 가져야"



조윤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