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사이버 위협 탐지 100% 대응한 광주광역시 AI기반 기술력…"전국구로"

지역정보화 우수사례 행안부 장관상 수상

업무처리 3배↑ 대응시간 10분→3분 단축

광주광역시는 전북 군산시에서 열린 행정안전부 주관 ‘제42회 지역정보화 우수사례 발표대회’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랜섬웨어 방어체계 구축’으로 행정안전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사진 제공=광주광역시광주광역시는 전북 군산시에서 열린 행정안전부 주관 ‘제42회 지역정보화 우수사례 발표대회’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랜섬웨어 방어체계 구축’으로 행정안전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사진 제공=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의 인공지능(AI) 기반 사이버보안 기술력이 전국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18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전북 군산시에서 열린 행정안전부 주관 ‘제42회 지역정보화 우수사례 발표대회’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랜섬웨어 방어체계 구축’으로 행정안전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으로 광주시는 개인정보와 디지털정보 자산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실에서 정보보안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인공지능(AI) 중심도시의 위상을 입증했다.

이번 대회는 전국 16개 시·도(주관 지자체 전북 제외)가 제출한 정보화 우수사례 중 본선에 진출한 10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광주시는 ‘AI 기술을 활용한 랜섬웨어 방어체계 구축’ 사례를 발표해 사이버보안 기술력은 물론 타 지자체·기관 파급 효과, 확장성 등 전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광주시가 개발한 이 시스템은 급증하는 신·변종 랜섬웨어 공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존 경계형 보안 방식의 한계를 극복한 AI 기반 지능형 보안관제 시스템이다.

관련기사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제공한 46종의 AI 학습용 보안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업무용 PC 데이터를 수집해 그룹화하고,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해 고도화했다. 실제 24종의 랜섬웨어를 활용한 모의공격 실증에서 탐지 정확도 98.2%를 달성했으며, 기존 보안장비로는 탐지하지 못했던 잘 알려지지 않은 랜섬웨어 7종까지 AI이 탐지하는 성과를 거뒀다.

시스템 도입 효과도 뚜렷했다. 도입 전에는 사람이 직접 월평균 약 5000건의 보안업무를 처리했으나, 도입 후에는 월 1만 5000건 이상을 자동 분석·관제해 처리량이 3배 증가했다. 위협탐지부터 대응조치까지 소요시간도 기존 10분에서 3분으로 단축됐다.

광주시는 현재 AI 보안관제 시스템과 24시간 사이버침해대응센터를 운영하며 올해 8월 기준 악성코드 3575건, 서비스거부(DDoS) 1만 4046건 등 총 10만 5807건의 사이버 위협을 탐지, 100% 대응했다.

특히 올해 세계양궁선수권대회 기간 중에는 사이버보안상황실을 운영해 대회 운영망에 대한 실시간 보안관제를 수행하는 등 사이버 위협에 성공적으로 대응했다.

이병철 광주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장관상 수상은 광주시가 추구하는 인공지능(AI) 기반 행정혁신도시 실현의 대표적 사례”라며 “시민의 개인정보를 비롯해 다양한 행정정보 자산 그리고 데이터 주권을 지키는 AI 보안정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광주=박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