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고강도의 희토류 수출통제 조치를 내놓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100% 추가 관세를 예고하며 미중 정상회담도 장담할 수 없다고 엄포를 놓았다. 중국은 “싸움을 원하지 않지만 고집을 부리면 상응 조치를 하겠다”고 밝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18일 앞두고 미중 간 기싸움이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 시간) 트루스소셜을 통해 중국의 희토류 수출통제를 문제 삼으며 “다음 달 1일부터 중국에 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모든 핵심 소프트웨어(SW)에 대한 수출통제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미국의 대중국 관세는 평균 55% 수준인데 트럼프의 엄포가 현실화하면 총 155%에 달하게 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백악관이 중국의 조치에 충격과 분노를 표출했다”고 논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주 뒤 한국에서 열리는 APEC 회의에서 시진핑(중국 국가주석)과 만날 예정이었지만 이제는 그럴 이유가 없어 보인다”며 불쾌한 심경을 드러냈다. 다만 이후 미중 정상회담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정상회담을 할지 모르겠지만 그것과 상관없이 그곳(한국)에 갈 것”이라고 답한 뒤 “아마 우리가 회담을 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여지를 남겼다.
중국 역시 대화의 문은 열어놓으면서도 미국의 행동 변화를 촉구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12일 홈페이지에 게시한 입장문에서 “희토류 통제는 법규에 근거한 정상적 행위”라며 “걸핏하면 고액 관세로 위협하는 것은 중국과 공존하는 올바른 길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는 싸움을 바라지 않지만 그렇다고 두려워하지도 않는다”며 “미국이 조속히 잘못된 처사를 바로잡기를 촉구한다. 고집대로 한다면 단호히 상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중 무역전쟁 재개 조짐에 시장은 급락했다. 10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2.71%, 나스닥은 3.56% 떨어졌는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발표 직후였던 올 4월 10일 이후 6개월 만에 최대 낙폭이다. 이날 하루에만 뉴욕증시의 시가총액이 2조 달러 감소했고 비트코인 가격은 이틀 새 8% 넘게 급락했다. 불확실성이 고조되며 12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트로이온스당 4000.40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