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SK하닉 7%, 삼전 5% '곤두박질'…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발동

사이드카 '트럼프 관세충격' 4월 이후 7개월만

외국인, 코스피서 이틀째 3조원 가까이 순매도

'밸류 부담' 차익실현 욕구에 AI 거품론 맞물려

5일 서울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가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66.27포인트(1.61%) 내린 4055.47로 시작해 장중 4000선 아래로 떨어졌다. 연합뉴스5일 서울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가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66.27포인트(1.61%) 내린 4055.47로 시작해 장중 4000선 아래로 떨어졌다. 연합뉴스




고공행진하던 국내 증시가 5일 외국인의 매도세에 힘없이 고꾸라졌다. 이날 코스피는 4%대 급락, 4000선 아래를 내주며 한국거래소는 코스피 시장에 매도 사이드카를 발동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충격으로 인해 증시가 크게 요동쳤던 4월 7일 이후 올해 두 번째 사이드카 발동이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55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장 대비 4.29% 하락한 3994.80에 거래 중이다. 이로써 지수는 종가 기준 처음으로 4000을 넘어섰던 지난달 24일 이후 8거래일 만에 다시 4000대 아래로 떨어졌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과 개인이 각각 2714억 원, 5011억 원 순매수하고 있으나, 외국인이 7390억 원어치를 팔아치우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외국인은 전날도 코스피서 2조 2282억 원을 순매도해 이틀 간 3조 원 가까이 팔아치우고 있다.



주가가 추락하자 이날 오전 9시 46분 15초께 코스피200선물지수의 변동으로 5분간 프로그램매도호가의 효력이 정지됐다. 발동 시점 당시 코스피200선물지수는 전일 종가보다 30.35포인트(5.20%) 하락한 552.80이었다.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된 것은 올 4월 7일 이후 7개월만이다. 사이드카는 코스피200선물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해 1분간 지속되는 경우 발동된다.

관련기사



특히 그간 상승장을 이끌었던 반도체 관련 종목들을 중심으로 낙폭을 키우고 있다. 같은 시각 삼성전자가 5.43% 하락해 10만 원 선이 깨졌고, SK하이닉스도 7.00% 급락하며 54만 5000원까지 떨어졌다. 두산에너빌리티(-8.94%) 등 원전 관련주뿐만 아니라 한화오션(-7.69%), HD현대중공업(-6.00%), 한화에어로스페이스(-6.44%) 등 올 하반기 활황장을 주도해왔던 조선과 방산업종까지 줄줄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주가 고평가 부담에 따른 외국인의 차익 실현 욕구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뉴욕 증시에서도 인공지능(AI)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고평가 논란이 커진 점이 부담으로 작용한 여파로 풀이된다. 간밤 뉴욕증시는 3대 지수가 약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1.44포인트(0.53%) 내린 4만 7085.2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80.42포인트(1.17%) 떨어진 6771.5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486.09포인트(2.04%) 물러난 2만 3348.64에 각각 마감했다.

최근 일부 전문가들이 뉴욕증시에서 인공지능(AI) 관련 주식의 버블이 ‘닷컴 버블’ 때보다 심각하다는 경고를 내놓은 것이 영향을 미쳤다. AI 기반의 기업용 소프트웨어 업체 팰런티어는 전날 월가 전망을 웃도는 호실적을 내고 실적 전망까지 올렸는데도 7.94% 급락했다. 팰런티어의 급락은 다른 AI 관련 종목에 대한 투자심리 냉각으로 이어졌다. AI 칩 대장주 엔비디아는 3.96%, AI 칩 제조사인 AMD는 3.70% 하락했다. 테슬라(-5.15%), 알파벳(-2.16%), 브로드컴(-2.81%), 아마존(-1.83%), 메타(-1.59%), 오라클(-3.75%) 등 AI 관련 다른 대형 기술주들도 약세였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전일 외국인의 약 2조 2000억 원대의 코스피 순매도 규모는 올 4월 7일 트럼프 상호 관세발 증시 급락 당시(약 2조 1000억 원 순매도) 이후 최대 금액”이라며 “2000년 이후 외국인이 코스피에서 단행했던 역대 5위의 순매도에 해당되는 만큼, 외국인의 한국 증시에 대한 하방 베팅이 시작됐다는 의미로 해석될 여지를 제공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다만 외국인의 수급 향방은 코스피 이익 전망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사실을 상기해볼 때, 최근 외국인 순매도는 10월 이후 반도체 등 대형주 폭등에 따른 차익 실현의 성격으로 이해되며 본격적인 ‘셀 코리아’ 진행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속보] SK하닉 7%, 삼전 5% '곤두박질'…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발동


강동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