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Q: 스누즈 기능은 잠을 깨는데 정말 도움이 될까?

초간단 답변: 때에 따라 다르다.

수면에 방해를 받아 숙면을 취하지 못하면 잠을 깬 뒤에도 몸이 무겁고 찌뿌듯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알람시계의 스누즈 기능을 사용하면 깼다가 잠들었다가를 반복하면서 수면에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게 미국 하버드 의대의 신경과학자 진 더피 박사의 주장이다. “30분 동안 10분 간격으로 스누즈 버튼을 누르면서 비몽사몽하는 것 보다는 아예 알람을 30분 뒤로 설정해 놓고 자는 것이 낫습니다.”

관련기사



물론 스누즈 기능의 이점도 있다. 기상 후에도 일정 시간 졸음과 집중력 곤란, 무력감을 느끼게 되는 이른바 ‘수면 관성’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한다. 더피 박사에 따르면 수면 관성의 강도와 시간은 어떤 수면 단계에서 깨어났는지에 일정부분 달려 있다. 예컨대 가장 깊은 수면단계인 서파 수면(slow-wave sleep)중 깨어나면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이름이 뭔지조차 순간적으로 기억나지 않을수 있다.

“이럴 때 스누즈 기능을 사용했다면 서파 수면이 아니라 각성상태와 가장 가까운 얕은 수면 단계인 램 수면에서 다시 깨어날 수 있습니다. 다만 애당초 램 수면 단계에 있었다면 잠을 더 청하면서 오히려 서파수단 단계로 빠져드는 자충수를 두게 될 개연성도 배재할 수 없습니다.”

파퓰러사이언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