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소리로 불 끈다’ 美대학생 음파 소화기 발명

미국 조지메이슨 대학 재학생인 세스 로버트슨(왼쪽)과 비엣 트란이 자신들이 개발한 음파 소화기로 불을 끄고 있다. /CNN영상

미국 대학생이 화학물이 아닌 소리로 불을 끄는 소화기를 발명해 눈길을 끌고 있다.

27일 워싱턴포스트와 CNN 등에 따르면 조지 메이슨 대학에서 공학을 전공하는 비엣 트란(28)과 세스 로버트슨(23)은 음파로 불을 끄는 장치를 만들었다.


이 장치의 원리는 이렇다. 특정 진동수에 이르는 음파는 불에서 산소를 인화물질과 분리한다. 압력파는 앞뒤로 움직이며 공기가 있는 부분을 흔들고 이렇게 해서 생긴 공간 때문에 불이 재점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게 트랜의 설명이다.




당초 이들은 2만~3만㎐의 초고파를 사용하려 했지만 실패하자 방법을 바꿔 30~60㎐의 저주파를 사용했고 이것이 성공을 거두었다. 이 대역은 힙합을 할 때 쿵쾅거리는 베이스의 영역에 해당한다.

관련기사



트랜은 “솔직히 나도 이 장치가 불을 이렇게 잘 끌 수 있으리라곤 생각하지 않았다”고 실토했다.

불을 잘 끌 수 있다는 것 외에 또 다른 장점도 있다. 소화기는 불을 끈 다음 지저분한 잔여물이 남지만 이 장치는 소리를 발사하기 때문에 불이 꺼진 뒤에도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소화기의 화학물을 뿌리는 방식이 아니라 소리를 발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불을 끈 다음 주위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음파로 불을 진압하는 방식은 미국의 국방 첨담돠학기술연구소에서도 진행했지만 소화기 형태로까지 발전시키지는 못했다.

물론 이 음파 소화기는 현재 작은 불길만 잡을 수 있을 뿐 아직 큰 불길을 끄지는 못한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