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 PCT특허 점유율 세계 5위…LG전자, 기업중 8위

“디지털통신과 원거리통신 기술에 집중”

특허협력조약(PCTㆍPatent Cooperation Treaty)을 통한 우리나라의 국제특허출원 건수가 미국, 일본, 독일, 중국에 이어 5위로 집계됐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7일 공개한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의 PCT 특허출원 현황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난해 출원 건수는 1만447건(점유율 5.7%)이었다.

다른 주요국의 점유율은 미국 26.7%, 일본 21.4%, 독일 10.2%, 중국 9.0% 등이었다. 2010년에 비해 우리나라의 출원 건수는 8.0% 증가하는 데 그쳤으나 중국은 33.4%, 일본은 21.0% 늘어 우리나라와 격차를 더욱 벌렸다.


우리나라의 PCT 특허출원을 주체별로 보면 기업이 67.3%, 개인이 17.7%, 대학이 10.0%, 정부연구기관이 5.0%였다. 기업 중에서는 LG전자가 1,336건으로 세계 기업 중 8위, 삼성전자가 757건으로 15위를 차지했다. 기업 중 PCT 특허출원 건수 1위는 중국의 ZTE, 2위는 일본의 파나소닉이었다.

관련기사



대학 중에는 미국의 캘리포니아대학이 가장 많은 PCT 특허출원을 냈고 KAIST가 103건으로 세계 5위, 서울대가 99건으로 6위였다. 정부연구기관 중 세계 1위는 지난해 371건의 PCT 특허를 출원한 프랑스의 원자력연구소였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104건으로 8위였다.

우리나라의 PCT 특허출원은 디지털통신(654건)과 원거리통신(610건) 기술 분야에 집중돼 있었다. 전기기계ㆍ에너지(504건), 오디오ㆍ영상(459건) 기술도 많았다.

/온라인뉴스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