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은 폐기물서 연간 33.5톤 수은 배출

국내 폐기물에서 수은이 여전히 배출되고 있어 안전한 관리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23일 수은 함유 폐기물이 많은 것으로 알려진 25개 업종의 169개 사업장을 선정해 지난 2012년 5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조사한 결과, 연간 총 33.5톤의 수은이 함유돼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비철 추출·가공업종에서 연간 29.5톤의 수은이 함유·배출돼 전체 배출량의 8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철강 추출·가공(1.1톤), 생활폐기물 소각(1톤), 석탄 발전(0.8톤), 하·폐수처리(0.5톤), 의료폐기물 소각(0.2톤) 등에서도 수은이 함유·배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환경부는 수은함유 폐기물의 배출실태 조사결과를 토대로 안전하고 환경 친화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가정과 병원 등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폐형광등, 온도계, 혈압계 등 수은 함유 폐제품의 회수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고농도로 수은이 함유된 폐기물에서 수은을 회수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수은 함유 폐기물을 안정화·고형화해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 중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수은 함유 폐기물 배출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수은함유 폐기물이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