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문 오픈프라이머리, 비례대표 의석 유지 한발씩 물러나 ‘빅딜’ 할까

김-100% 오픈프라이머리 대신 당원목소리 반영,

문-비례대표 의석 줄이고 권역별 비례대표 도입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선거구 획정 문제를 타결 짓지 못할 경우 여야 대표가 만나 해결해야 한다”고 밝힌 것에 대해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좋은 이야기”라고 화답하면서 선거제도 전반을 논의할 여야 대표의 회동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최재성 새정연 총무본부장이 30일 “여야가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하기로 합의한다면 각 당 사정에 맞게 그 규칙을 정하면 된다”며 야권의 오픈프라이머리 수용 가능성도 내비쳐 김 새누리당 대표가 요구하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과 문 새정연 대표가 주장하는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과 비례대표 의석수 유지에 대한 접점 모색이 가능하다는 주장이 흘러나오고 있다.


정치권에서 두 대표의 ‘빅딜’이 흘러나오는 이유는 김 새누리당 대표와 문 새정연 대표가 각각 당에서 처한 상황 때문이다.

관련기사



새누리당 내부에선 김 대표가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많은 의구심이 흘러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의 공직 후보를 뽑는데 당비를 내는 당원의 의견을 듣지 않는 문제와 공천의 30%를 여성 몫으로 떼어줘야 한다는 여성계의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픈프라이머리를 통해 청와대로부터 공천 압박을 원천 제거할 경우 이에 반발한 친박 의원들의 ‘김무성’ 흔들기가 재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김 대표가 주장하는 ‘100% 완전국민경선제’식의 오픈프라이머리가 아닌 야당과 협의를 통해 일정 부분 당원의 의사와 전략공천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는 모양새다.

문 새정연 대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문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해야 하고 이를 위해 비례대표 의석수는 줄일 수 없다”며 사실상 농·어촌 지역구 의석수를 줄이는 방침에 동의하고 있다. 이에 비노가 주축이 된 전남·전북 도당 위원장이 성명을 내고 “비례대표를 줄여서라도 농어촌 지역 의석은 늘려야 한다”고 새누리당 주장에 힘을 보태며 문 대표를 겨냥하고 있어 수그러든 당 내홍이 다시 발생할 위기에 처해있다. 당 관계자는 “비례대표 의석수를 조금 줄이더라도 권역별 비례대표를 받아내는 전략을 짠다면 협상의 명분과 당내 안정을 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