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경제외교가 빚은 걸작

박근혜 대통령-시 주석 회담 후 지연 문제 풀려

지난해 3월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중국 서부 지역의 충칭으로 날아갔다. 이곳에서 쑨정차이 충칭시 서기를 만나 4공장 설립을 위한 전략합작기본협의서를 체결했다. 서부 내륙지역 공략을 위한 중요한 기반을 다진 순간이었다.

잘 풀리는 것 같던 현대차의 4공장 프로젝트는 갑자기 암초를 만났다. 자동차 과잉생산과 지역 간 발전문제를 고민한 중국 중앙 정부가 현대차의 충칭 신규 공장 건설에 미온적으로 돌아선 것이다.

그렇게 4공장 건립은 교착상태에 빠졌다.


이 상황에서 정부가 나섰다. 지난해 7월 우리나라를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난 박근혜 대통령은 "현대차의 충칭공장 건설을 전향적으로 검토해달라"고 주문했다.

관련기사



시 주석도 이를 받아들였다. 어려울 것 같던 충칭공장 설립문제가 풀리기 시작했다.

이후 중국 정부는 충칭뿐아니라 베이징과 톈진·허베이를 포함한 수도권을 말하는 징진지에 공장을 추가 건설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내놓았다.

현대차는 이를 수용했다. 충칭과 창저우 두 곳에 공장을 짓기로 한 것이다. 현대차의 충칭 공략 계획은 결국 성공했고 생산량 추가 증대를 위한 창저우 진출도 마무리지었다.

양국 정상이 만난 지 9개월 만인 3일 현대차는 창저우공장에 첫 삽을 뜨게 됐다. 현대차의 중국 진출에 양국 정상회담이 제 역할을 톡톡히 해낸 셈이다. 정상회담이 아니었다면 현대차는 중국 공략을 위한 '골든타임'을 놓칠 뻔했다. 중국의 가파른 승용차 판매량 증가에 힘입어 폭스바겐과 제너럴모터스(GM), 도요타 같은 글로벌 업체들은 중국 공장 신증설에 앞다퉈 나서고 있다.

재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현대차는 중국 내에서의 판매량 증가와 경쟁력 유지를 위해 서부 지역의 핵심인 충칭공장과 창저우공장이 절실했다"며 "정부가 공장을 건설할 수 있도록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현 정부 경제외교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라고 볼 수 있다"고 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