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日 바둑영웅전] 실착성 명점
제6보(78~100)
실수는 실수를 낳는다. 앞에서 잠깐 행마의 실수로 빈삼각의 둔한 모양을 감수하게 된 박영훈이 계속해서 실착을 두어 서반에 확립했던 우위를 모두 까먹게 된다.
백80으로 찌른 이 수가 문제였다. 이 수로는 참고도1의 백1로 먼저 미는 것이 올바른 행마의 수순이었다. 그것이면 백이 선수를 뽑아 요처인 3의 자리를 선착할 수 있었을 것이며 그랬더라면 간발의 차이긴 하지만 백이 여전히 앞서는 바둑이었다.
실전은 백82에 흑이 손을 빼어 83으로 달려가는 바둑이 되었다. 이 차이가 엄청나게 커서 바둑은 어느덧 역전 무드가 되었다. 기분이 좋아진 창하오는 대세의 급소인 89를 차지하여 기세를 올리기 시작했다. 흑89는 세 곳의 백을 동시에 노리는 이른바 일석삼조의 고지였다. 상변의 백, 우변 상부의 백, 중원의 백이 동시에 흑의 가늠자 위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천하 명점이지만 그 전에 흑은 90의 자리를 선수로 먼저 두어놓았어야 했어요.”
박영훈은 흑89를 실착성 명점이라고 평했다. 흑91은 일종의 유인책. 백이, 참고도2의 1 이하 9로 실리를 탐하면 기분좋게 외곽을 싸바를 예정이다. 그러나 박영훈은 그 유인에 넘어가지 않았다.
노승일ㆍ바둑평론가
입력시간 : 2005/12/07 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