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시장 육성을 위해 채권을 발행할 때 대표주관회사 선정을 의무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심재만 삼성증권 DCM사업부 이사는 25일 금융투자협회 주최로 열린 ‘채권포럼’에서 투명하고 기업부담을 줄여주는 방향으로 회사채 발행 규정을 고쳐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 자리에서 심 이사는 채권시장 발전을 위해 발행을 할 때 주식처럼 대표주관회사를 의무적으로 지정, 적정평가절차를 거쳐 시장에서 가격이 결정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동안 국내 회사채 시장은 발행사가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기 전에 자의적으로 금리나 물량, 인수단을 결정해 왔다.
그는 주식시장과 같이 채권을 발행할 때 대표주관회사 선정을 신설하고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면 발행사에 의한 가격 왜곡현상을 막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일괄신고 제도의 활성화를 통해 기업들의 불필요한 공시부담을 완화하면서 투자자보호 기능은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심 이사는 “회사채시장은 최근 급속히 성장, 현재 GDP의 13%를 차지할 정도로 양적으로 성장했지만, 질적인 면에서는 3년만기 이하 비중이 68%에 이르는 등 장기투자 조달원으로서의 제역할을 못하고 있고 발행규모도 500억원 이하가 74%나 되면서 대규모 자금조달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