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증시 붕괴가 리 총리가 주도한 성장기업들의 자금조달 창구 붕괴로 이어지고 있다며 신성장산업에 집중한 정부의 정책 결정이 폐기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왕펑 상하이 인수캐피털 회장은 "시장 붕괴는 증시가 효율적인 자금조달 통로가 될 것이라는 정부의 바람을 저버렸다"고 말했다.
SCMP는 주가 급락이 제조업에서 신성장산업과 서비스업 등으로 경제체질 개선을 노렸던 리 총리의 성장전략에 차질을 가져올 것으로 예측하며 새로운 경제성장 모델인 신창타이(뉴노멀) 계획도 재검토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사오위저 둥팡증권 수석경제분석가는 "주가 급락이 지도부에 정책 결정의 효율성을 재평가하게 할 것"이라며 "정부는 현재 어떤 정책에 집중해야 할지 다시 고민하며 금융시장 개방과 혁신, 위험 통제에 대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증시 부양에 경제개혁이 뒤로 밀릴 수 있다는 말이다.
증시 폭락이 리 총리의 정치적 입지를 흔들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수백만명의 투자자가 입은 손실이 사회문제로 확대될 경우 정치 문제도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정부의 증시 부양책이 일부 대형 국유기업에만 혜택이 집중되며 정부의 바람대로 성장주와 소형주 투자에 집중했던 투자자들의 화를 돋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중국 증시 폭락에도 페트로차이나(중국 석유천연가스집단)의 주가는 정부 자금 지원설에 지난주 12.3%나 올랐다. 블룸버그는 2007년과 마찬가지로 증시 부양의 혜택은 페트로차이나 등 대형 정책주에 집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