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수수료 부담 적은 펀드서 집중 환매

A형 펀드서 집중적으로 빠져나가… 단타 수단으로 악용

최근 펀드의 자금 이탈이 계속되는 가운데 특히 수수료 부담이 적은 펀드에서 집중적으로 환매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연초 후 가장 많은 자금유출을 보인 국내주식형펀드는 2,428억원이 빠져 나간 한국투자신탁운용의 한국투자네비게이터증권투자신탁 1(주식)였다. 특히 이 펀드 중 환매수수료가 적은 A형에서 1,822억원이 이탈해 펀드 전체 환매액의 75%를 차지했다.


KB자산운용의 'KB코리아스타증권투자신탁(주식)'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 펀드는 올 들어 발생한 유출액 1,484억원 중 82%인 1,211억원이 A형에서 발생했다.

관련기사



이외에 하나UBS블루칩바스켓증권투자신탁V- 1[주식]ClassA(804억원), NH-CA1.5배레버리지인덱스증권투자신탁[주식-파생형]Class A(615억원) 등도 환매규모가 컸다.

A형 펀드를 중심으로 자금 유출이 큰 이유는 환매 부담이 적기 때문이다. A형 클래스는 대부분 장기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유형으로 선취 수수료를 내지만 대신 운용보수는 저렴하다. 특히 환매수수료가 없거나 부담이 적은 게 특징이다.

실제로 A형 펀드의 경우 약관상 환매수수료를 아예 내지 않거나 30일 미만일 때 이익금의 70%, 30일 이상 90일 미만일 때는 이익금의 30%만 내면 된다. 또 3개월이 지나면 수수료를 물지 않고 환매할 수 있다. 90일 이내에 환매할 때 이익금의 70%'를 물게 하는 게 상당수인 C형 펀드와는 대조적이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8월 주가 폭락으로 국내주식형 펀드에 신규 자금이 유입됐을 때 상당수가 A형 펀드에 몰렸고, 이들은 단기 차익 실현 뒤 언제든 빠져나갈 수 있는 것들"이라며 "최근 수익률이 양호했던 펀드의 A형 클래스에 연초 후 환매가 집중된 점이 이를 방증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펀드를 활용한 단타 투자는 상품의 본질에도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잘못된 마켓 타이밍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장기로 흘러갈 수 있어 바람직한 투자 전략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