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규제개선만으로 새 일자리 30만개 창출한다는데

규제개선만으로도 국내총생산(GDP)이 오르고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조사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013년 발표한 한국의 시장규제지수는 1.88로 분석 대상인 31개국 중 이스라엘·터키·멕시코에 이어 네 번째로 규제가 강했다. 전경련은 시장규제지수가 OECD 평균 수준(1.46)으로 개선되면 GDP가 1.6% 높아지고 29만9,000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추산했다.


2013년 우리나라의 규제비용은 무려 158조3,000억원으로 그해 법인세(43조9,000억원)의 3.6배, 근로소득세(22조5,000억원)의 7.0배에 달했다. 국민 전체로 보면 1인당 315만원을 규제비용으로 부담한 셈이다. 특히 시장규제비용은 2006년의 65조원에서 2013년 103조5,000억원으로 7년 사이 59.2%나 늘어났다. 그동안 정부가 외친 규제개혁이 별무소득이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관련기사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초부터 강한 규제개혁 드라이브를 걸었다. 지난해 3월 청와대에서 장장 7시간에 걸쳐 열린 1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박 대통령은 "쓸데없는 규제는 우리가 쳐부술 원수이자 제거해야 할 암덩어리"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규제개혁에 앞장서기도 했다. 당시 정부 전 부처는 1만5,000여개 전체 등록규제를 2016년까지 20% 줄이되 경제 관련 규제 1만1,000개를 중심으로 2014년 말까지 우선 10% 축소하겠다는 목표를 내놓았다. 그러나 정책 발표와 달리 현실은 요지부동이다. 1년이 지난 뒤 규제개혁 실적은 고작 3.1%였다. 정부의 규제개혁에 만족하는 기업이 7.8%에 불과하다는 설문 결과가 나오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규제개혁에 따른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다는 점은 얼마 전 고용노동부 자료에서도 확인한 바 있다. 고용부가 발표한 일자리 창출 효과 상위 6대 과제 가운데는 장시간 근로개선만으로 신규 채용 확대가 14만~15만명에 달한다는 내용도 있다. 규제개혁과 고용확대의 상관관계를 잘 보여준다. 정부는 당장 규제 신설·강화 때 같은 수준의 비용을 유발하는 기존 규제를 정비하는 규제비용총량제부터 도입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