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월 한가위를 앞두고 지방자치단체마다 재래시장 상품권 활성화를 위한 묘안을 찾기 위해 부심하고 있다. 1년 중 재래시장에 대한 관심이 가장 몰리는 시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다. 상품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맹업소의 지역 제한을 풀고 확대해야 하나 ‘재래시장 활성화’라는 근본 취지를 훼손할 수 있어 고심하고 있다.
대구시는 추석을 앞두고 15억원 어치의 재래시장 상품권을 추가 발행하고, 지난 11일 대구시장과 교육감, 상의회장, 상인연합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상품권 구매촉진행사’를 갖는 등 대대적인 유통활성화에 나섰다.
시는 상품권의 이용 편의를 높이기 가맹 재래시장을 종전 40개에서 46개로 확대하는 한편 상품권 이면에 가맹시장을 표시하고, 가맹점에는 표시씨링을 부착키로 했다. 3만원 이상 구매자에 대한 경품행사도 갖기로 했다.
이와 함께 최근 ‘상품권 활성화를 위한 시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제안된 할인쿠폰 발행, 감사 서신용 카드 제공 등도 시행키로 했다.
그러나 아이디어 공모에서 가장 많이 제안된 가맹점 확대에는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 공모 당시 모두 54건의 의견 중 ‘재래시장 상품권을 놀이공원ㆍ편의점ㆍ극장ㆍ서점ㆍ주유소 등에서도 사용하도록 하자’ ‘상품권을 교통카드 충전용으로도 활용하자’ 등 사용처 확대 의견이 주류를 이뤘다. 복권의 장점과 재미를 도입하자는 의견도 많았다.
대구시 관계자 “사용처를 재래시장 이외 업소로 확대하는 것은 재래시장 상품권의 기본 취지에 벗어날 수 있어 조심스럽다”며 “일단 관공서 주변 식당 등에 대해 제한적으로 확대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상품권에 대한 시민 요구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면서 공무원과 기관ㆍ단체 등에 의존하는 판매행태는 이번에도 재연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는 올해 설을 앞두고 20억원 어치의 재래시장 상품권을 첫 발행해 14억5,000만원 상당을 팔았으나 이중 공무원과 유관기관ㆍ사회복지기관 등에서 12억원 이상을 매입했다.
광주시의 경우도 추석을 맞아 자치구별로 7억원의 재래시장 상품권을 발행하고, 판매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상품권 사용처 제한과 시장이용 불편, 일부 상인들의 기피 등으로 인해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