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IMF 무리한 요구에 우량기업 도산"

이헌재 전 재정경제부 장관, 우드로 센터 연설서 비난이헌재(李憲宰) 전 재정경제부 장관은 3일 한국의 개혁은 국민적 합의 속에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하며 앞으로 국민적 합의는 투명성 확보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 전 장관은 워싱턴 유일의 공공 싱크탱크인 우드로 윌슨 센터 초청 연설에서 한국은 개혁을 계속 추진해야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고 "환란 직후에는 개혁의 당위성이 쉽게 확보됐으나 위기가 일단 극복된 지금은 투명성과 의견교환을 통해 국민적 합의를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전 장관은 지난 1975년 이후 발생한 국제 금융 위기 200여건을 분석한 결과 국제통화기금(IMF)이 미처 수용 태세를 갖추지 못한 국가에 개방을 무리하게 요구했고 각국의 현실을 무시한 채 고금리와 고환율 등 과도한 `허리띠 졸라매기'를 강요한 탓으로 우량 기업 도산 등 부작용을 빚었다고 지적했다. 환란 위기 극복의 공을 인정받아 권위 있는 `우드로 윌슨 공공 봉사상'의 올해 수상자로 선정된 이 전 장관이 IMF의 금융 위기 처방을 강력히 비난하고 개선을 공개적으로 요구한 것은 매우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워싱턴=연합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