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최대주주 변경 잦은기업 “조심”

작년 3회이상 바뀐 3곳중 1곳은 퇴출<BR>우회상장 35社중 22개社도 실적악화


최대주주 3번 이상 바뀐 기업 3개 중 하나는 퇴출, 우회상장 후 실적 악화된 기업 62%… 최대주주가 세 번 이상 바뀐 기업 3곳 중 한 곳은 퇴출됐고, 우회상장 기업의 62%는 경영실적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나 최대주주 변경이 잦거나 우회상장 기업에 대해선 투자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3일 코스닥시장본부가 2004년 한 해 동안 최대주주가 변경된 171개사를 분석한 결과, 18.1%인 31개사가 상장폐지 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전체 상장폐지율 4.5%(886개사 중 40개사 퇴출)보다 4배 이상 높은 수치다. 특히 최대주주가 자주 바뀔수록 상장폐지율이 높았다. 최대주주가 한 번 바뀐 기업 중 상장폐지 된 기업의 비율은 15.7%, 2번 바뀐 기업은 17.6%로 나타났고, 3번 이상 바뀐 기업은 상장폐지율이 31.8%로 급등했다. 지난해 최대주주가 가장 많이 바뀐 기업은 시큐어소프트로 총 12번을 기록했고, 세넥스테크와 지니웍스도 5번이나 최대주주가 바뀌었다. 최대주주가 자주 바뀔수록 대표이사 교체도 많아지면서 경영과 영업이 안정을 찾지 못했다. 최대주주가 한 번 바뀐 기업은 2004년1월부터 지난 20일까지 대표이사가 평균 1.3회 교체됐고, 2번 바뀐 기업은 1.9회, 3번 이상 바뀐 기업은 평균 2.4회로 6개월에 한 번씩 대표이사가 교체된 셈이다. 또 장외기업으로 있다가 우회상장을 한 코스닥 기업은 실적이 악화된 경우가 많았다. 2002년3월 이후 지난 4월까지 우회상장이 진행된 기업 중 결산이 이뤄진 35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2%인 22개사가 우회상장 후 경영성과나 자본상태ㆍ부채비율 등이 악화됐다. 특히 합병을 제외하고는 별도의 심사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우회상장 후 상장요건을 충족한 곳도 15곳 중 한 곳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우회상장이 부실기업 퇴출ㆍ우량기업 조기상장이라는 긍정적 효과보다는 부실기업의 상장심사 회피, 비상장기업 가치 과대평가 등에 악용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 창투사 대표는 “인수자금이나 경영능력이 없는 투자자가 코스닥 기업을 불법적인 방법으로 인수하면서 갖가지 부작용이 발생했다”며 “코스닥 기업을 인수하는 투자자는 인수자금 출처와 경영계획 등에 관한 정보공개 요건과 벌칙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