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서울경제TV] 3분기 기업 실적 비상… ‘메르스 충격’

117개 상장사 3분기 영업익 추정치 한달 새 6.3% 감소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국내 기업들의 실적에 미치는 충격이 3분기에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우려된다.


6일 금융투자업계와 와이즈에프엔 등에 따르면 증권사들의 실적 전망치가 3곳 이상 존재하는 유가증권시장 117개사의 지난 3일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 평균 전망치(컨센서스) 합계는 28조9,73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메르스 발생 초기인 지난 5월 말 기준 평균 전망치 합계 30조9,419억원보다 6.36% 낮아진 것이다.

관련기사



2분기 실적 전망치도 하향조정되고 있지만 3분기 실적에 대한 눈높이가 그보다 더 낮아지고 있다.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 합계는 5월 말 28조4,206억원에서 현재 27조6,500억원으로 2.71% 하향조정됐다.

메르스로 피해를 본 업종의 실적 하향조정세가 두드러진다. 호텔·레저 업종은 5월 말에 비해 2분기와 3분기의 영업이익 전망치가 각각 12.08%, 12.42% 감소했다. 화장품·의류 업종의 2분기 영업이익은 5월 말과 비교해 1.77% 하향조정됐다. 3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3.07% 떨어졌다. 운송 업종의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5월 말보다 34.18% 급감했다. 3분기 전망치는 18.56% 하향조정됐다. 여름철 성수기 효과로 2분기보다는 개선되겠지만 여전히 메르스 여파가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에 메르스 수혜 업종으로 꼽히는 건강관리 업종은 3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5월 말에 비해 5.36% 상향조정됐다.

관련 업종의 주가 흐름도 엇갈리고 있다. 최초 확진일 직전 거래일인 5월 19일 대비 7월 3일 종가 기준으로 의약품 업종은 31.53% 급등했다. 반면에 운수·창고는 같은 기간 10.63% 하락했다. 호텔, 백화점 등이 포함된 유통 업종은 4.57%, 서비스는 7.00% 오르는 데 그쳤다.


이보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