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에서 환경오염을 줄이고 에너지순환을 이루기 위해 진행되고 있는 '생태산업단지' 사업 성과가 가시화 되고 있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은 21일 지난해 1월부터 울산ㆍ온산, 포항, 여수, 반월ㆍ시화, 청주 등 5개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한 결과 소각장 폐열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및 각종 부산물의 재활용을 통해 환경오염 방지와 수 십억원의 경제효과가 기대되는 등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울산미포산업단지 입주기업인 효성은 이 달 말부터 울산시가 운영중인 성암소각장에서 배출되는 폐열을 활용한 스팀을 공급 받아 용연2공장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게 된다.
산단공관계자는 "성암소각장 스팀공급사업이 본격화되면 연간 이산화탄소 5만5,500톤 절감 등 71억원의 경제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포항산업단지의 경우에는 제철부산물을 이용해 슬러지 고화제 개발, 이를 포항시 하수 슬러지에 적용해 복토재로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해양오염 방지와 30억원의 경제효과가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산업자원부와 산업단지공단은 올해 생태산업단지사업을 본격 추진해 '지속가능 한 산업단지'의 한국형 모델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사업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 중장기 비전과 로드맵을 수립 ▦생태산업단지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참여기업 확대 ▦생태산업단지 선정지표 및 성과평가지표 개발 등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시스템 마련 등에 나설 계획이라고 산단공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