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4일 시 산하 18개 공공기관 혁신방안의 4번째로 서울산업진흥원(SBA)과 서울신용보증재단을 연계해 유망 중소기업에 1조원을 투·융자하고 소상공인의 대출금 이자 부담을 대폭 완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혁신약정을 발표했다.
SBA는 우선 1,000억원 규모의 자체기금인 '서울산업진흥기금'을 기반으로 정부 모태펀드 등과의 매칭을 통해 총 5,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 2025년까지 유망기업 1,000곳에 투자한다. 아울러 2018년까지 창업 초기 기업에 필요한 '제품 상용화 연구개발(R&D) 자금'에 300억원, 싱크홀 탐지기술 등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도시문제 해결형 R&D 사업'에 100억원 등 총 400억원을 시비로 지원한다. 또 쏟아져나오는 베이비부머들에 대한 재교육을 통해 이들을 관련 영역의 전문 컨설턴트도 양성해 제2의 인생 설계를 돕는다.
서울신보는 문화콘텐츠, 관광·마이스(MICE), 모바일 융합 관련 기업을 발굴해 오는 2018년까지 5,000억원의 자금을 저리 융자한다. 현재 저신용·저소득 소상공인 5만명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햇살론과 마이크로크레딧 등 특례보증상품을 확대해 소상공인들의 이자 부담을 일반 은행의 3분의1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업체당 연 216만원을 절감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창조경제란 협업을 통해 더 큰 시너지 효과를 만드는 것"이라며 "두 기관의 혁신 약속 이행을 위해 행정적·재정적으로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