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문협회가 중간광고와 가상광고 도입 등 방송광고정책의 변화는 민주적이고 투명한 절차를 거쳐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문협회는 31일 방송위원회와 국회 등에 ‘방송광고 등 방송재원정책에 관한 협회 의견’을 전달한 뒤 “중간광고ㆍ가상광고 등 10년 넘게 쟁점이 돼왔던 제도를 일시에 도입하는 것은 방송광고제도 전체의 근간을 흔드는 것”이라며 “미디어 산업 전반에 큰 충격을 가져올 새로운 방송광고정책은 충분한 사회적 공론화 과정을 거쳐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 협회는 “지상파 방송사가 요구하는 방송광고제도가 허용될 경우 케이블TV와 신문 등 타 매체의 광고가 줄어들어 매체 균형발전이 어려워지게 된다”며 “중립적인 제3의 기구를 구성해 방송광고 및 미디어 산업 균형발전방안을 논의할 것을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중간광고와 가상광고에는 광고주의 수요가 몰릴 수 있어 시청률만을 의식한 프로그램 제작이 이어지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KBSㆍMBCㆍSBS 등 지상파 방송사들은 디지털 전환을 위한 재원 마련과 방송의 공적 영역 유지 등의 이유를 내세워 수신료와 방송광고 요금 단가 인상, 중간광고 및 가상광고 허용 등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