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울 '알짜 시유지' 민관 공동개발

市, 260만㎡ 선별 마무리… 5월 시범사업지 5곳 선정해 복합시설 등 조성


서울시가 개발가치가 높은 알짜 시유지 개발에 나선다. 단순매각 위주의 기존 방침에서 탈피해 산하 SH공사는 물론 민간자본을 끌어들여 가치를 극대화하겠다는 복안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시는 전체 6만개, 72조원 규모인 시유지 중 현재 300~1만㎡ 규모 1,000여개, 260만㎡를 골라낸 상태로 오는 5월 시범사업지 5곳을 선정해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 재정만으로는 도시재생사업 활성화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공공토지 자원을 적극 활용해 SH공사와 민간에 새 먹거리를 주고 공공 서비스 시설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5월 발주한 '공공토지자원 활용 기본구상 및 사업화 방안 수립' 1단계 용역을 조만간 마무리 짓고 이르면 5월 중 시범사업지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이 용역은 전체 시유지 가운데 활용가치가 높은 유휴부지를 찾는 것으로 SH공사 위탁개발·민간참여·재정사업 등의 방식으로 시유지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전작업인 셈이다.

관련기사



시는 현재 △활용 가능 시유지 1,000여개 △중점활용 시유지 100여개 △시범사업지 10여개 등 세 가지로 구분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놓았다. 시에 따르면 개발 가능성이 높은 시유지만도 260만㎡로 축구장 335개 넓이에 달하는데다 나대지·주차장 등 당장 개발하기 쉬운 부지도 35만㎡이나 된다.

이 중 우선 시장가치가 높고 시설 확충이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다섯 곳을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하고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아직 대상지나 사업 모델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1순위 대상지는 역세권 부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업무·상업·주거 복합시설, 광장 등을 만들어 공공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수익까지 창출하는 밑그림을 구상하고 있다.

시는 시유지 개발에 SH공사 위탁개발 방식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SH공사가 시유지를 빌려 개발한 후 시설물을 일정 기간 관리·운영하면서 수익을 얻는 방식으로 공공성과 수익성을 모두 확보하겠다는 의도다. 갈수록 SH공사의 수익사업이 줄어드는 상황에 새로운 사업 모델을 만들어줌으로써 도시재생의 한 축을 담당하게 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와 함께 필요할 경우 시유지 개발에 민간을 직접 끌어들이는 방안도 함께 검토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업방식의 경우 유형별로 위탁개발이 적합한지, 민간투자를 받는 것이 효율적인지 따져볼 것"이라고 말했다.


신희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