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中企 단기대출 장기로 전환"

자금난 악화 막게 우량 中企엔 대출 늘리기로

은행들이 1년 이하 단기대출의 장기 전환, 중소기업 워크아웃 활성화 등을 골자로 한 ‘중소기업 대출 만기구조 개선계획’을 금융감독당국에 제출했다. 이는 은행들이 중소기업 부실을 줄이기 위해 대출 연장보다는 회수 및 연체율 관리에 주력하면서 중소기업의 자금난이 악화되는 악순환 구조가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금융감독당국이 요청한 데 따른 조치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만기구조 개선계획서에서 신용등급이 높은 중소기업에 대해 최근 1년 이하 단기대출을 최소 3년에서 최장 5년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지난 9월 말 현재 중소기업 대출 중 단기대출 비중은 73.6%로 지난해 말에 비해 0.7%포인트 증가했다. 은행들은 또 신용등급이 낮은 중소기업 역시 6개월 이하 단기 여신을 1~2년짜리 대출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 대출비율을 준수한다는 계획서를 냈다. 현행 한국은행 규정에 따르면 은행들은 원화자금 대출증가액 중 45%를 의무적으로 중소기업에 대출해야 한다. 한국씨티은행ㆍ외환은행ㆍ제일은행 등 외국계가 대주주인 은행들은 이를 위해 현재 50%가 넘는 가계대출 비중을 줄이고 네트워크론 등을 활용해 우량 중소기업 대출을 확대할 방침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들은 이와 관련, “단기대출을 만기 연장할 경우 현금 유동성에 차질이 우려된다”면서 “수신고의 100%를 유지하도록 하는 원화자금 유동성 비율 기준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은행들은 워크아웃 활성화 태스크포스를 만들어 연말까지 워크아웃 대상기업도 대폭 늘리기로 했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은행 경영실태평가에 워크아웃 현황을 반영하게 된다”면서 “은행별로 한자릿수인 워크아웃 기업 수가 연내에 두자릿수로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15일 은행연합회에서 시중은행 중소기업대출 담당 임원회의를 열어 11월30일까지 이 같은 개선계획을 제출하도록 지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