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사립고등학교의 절반 이상이 ‘자율형 사립고’ 전환 신청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자율형 사립고’는 일반 인문계 고교의 3배 이내로 수업료를 받고 중학교 때의 내신과 면접 등으로 일반계 고교보다 먼저 학생을 선발할 수 있다. 다만 서울시 교육청이 지원하는 재정결함보조금은 포기하게 된다.
시 교육청은 지난달 시내 142개 사립고를 대상으로 ‘자율형 사립고’ 전환 신청을 받은 결과 67곳이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22일 밝혔다. 시 교육청은 교육과학기술부가 최종 방침을 정하는 대로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25개 자치구당 1곳씩 ‘자율형 사립고’를 최종 선택해 오는 2010년 3월 문을 열도록 할 방침이다.
그러나 ‘자율형 사립고’ 25곳이 한꺼번에 개교하면 시내 전체 일반 고교(225곳)의 17%가 일반 인문계 고교보다 학생을 먼저 선발하게 돼 시내 학교 중 2곳을 선택해 지원하는 ‘학교 선택권’ 제도의 취지가 무색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또한 공립고교가 ‘자율형 사립고’와의 경쟁에서 뒤쳐지면서 학교의 서열화가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시 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공립학교의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사립학교에 지원하던 재정결함보조금을 공립학교로 돌려 공립학교가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