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난해 30대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사상 최고 기록

육아 부담 감소와 골드 미스 증가의 영향

저출산과 ‘골드 미스’증가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3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사상 최고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57.0%로 통계치가 있는 2000년 이후 사상 최고였다.


이 수치는 2000년 54.1% 이후 상승세를 보여 2007년 56.3%까지 올랐다.

그러다가 세계 금융위기를 맞아 잠시 하락세로 돌아섰다가 2009년 54.2%에서 2010년 55.3%, 2011년 55.5%, 2012년 56.0%에 이어 지난해 57.0%로 계속 상승했다.

월 기준으로는 지난달 58.4%를 기록해 사상 최고였다. 전월보다 1.2%포인트나 급등해 눈에 띄었다.

30대 여성의 경제활동이 꾸준히 증가한 데는 저출산에 따른 육아 부담 감소를 하나의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국내 합계출산율은 1983년 2.06명에서 1984년 1.74명으로 내려간 뒤 지난해(1.19명)까지 30년째 1명선을 유지했다.

관련기사



또 학력과 경제능력을 갖춘 여성이 증가하고 이들의 결혼이 늦어지는 추세인 것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세계 금융위기 이후 경기가 다소 회복된 면도 있지만 20대 여성과 40대 여성의 경제활동은 최근 수년간 오히려 감소하거나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30대 남성과 비교하면 여전히 크게 낮은 편이다.

지난해 30대 남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93.2%로 30대 여성보다 36.2%포인트 높았다.

김영옥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좀 더 연구가 필요하지만 저출산이 그나마 요인으로 꼽아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최근에 시간제 일자리가 크게 늘어나거나 하는 정책적 요인으로 보이진 않는다”고 덧붙였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