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시장이 불안정한 탓에 안전성이 우수한 정부채와 자산유동화채의 비중은 확대됐다.
30일 한은이 발간한 '2011년 연차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말 외화보유액 3,064억달러 가운데 금과 국제통화기금(IMF) 포지션 등을 제외한 운용 외화자산은 2,982억달러로 전년 말보다 약 113억달러 증가했다.
전체 외화자산 가운데 미 달러화 자산의 비중은 60.5%로 전년 말보다 3.2% 하락했다. 2007년 공개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IMF가 공표한 전세계 외화보유액의 미 달러화 비중 61.7%(지난해 9월 말 기준)에 약간 못 미치는 수준이다. 한은은 국제환율 변동에 따른 보유 외화자산의 가치변동을 완화하고자 미 달러화 외에 유로화ㆍ엔화ㆍ파운드화 등 주요국 통화에 분산 투자했다. 달러화 자산 비중은 처음 공개된 2007년 64.6%에서 2008년 64.5%, 2009년 63.1%로 낮아지다가 2010년에는 63.7%를 기록했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달러화 외의 대안자산을 찾기 어렵다"며 "지난 10년간 전세계 중앙은행에서 유로화 비중이 10% 정도 늘어났으나 이런 추세가 계속 갈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상품별로는 정부채 비중이 36.8%로 전년 말보다 1.0% 늘어났다. 자산유동화채 비중은 17%로 0.8% 증가했다. 국제금융시장이 불안정해져 안전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정부채와 자산유동화채 비중을 확대한 것이다. 회사채 보유비중은 14.1%로 2.4% 줄이고 주식 비중은 5.4%로 1.6% 늘려 민간 금융부문 리스크를 상쇄했다. 정부기관채 비중은 1.7% 하락한 20.1%로 나타났다. 한은의 금 보유액은 2010년 8,000만달러에서 지난해 21억6,000만달러로 급등했다. 지난해 외화 투자의 다변화를 위해 약 40억톤의 금을 사들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