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에 성묘나 벌초 등 야외 활동과 해외 여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보건당국이 5일 감염병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연휴에 명절 음식 공동 섭취에 따른 수인성 또는 식품 매개 감염병 발생을 우려했다. 특히 최근 개학한 학교에서 집단급식 후 집단설사환자 발생 보고가 잇따르고 있다면서 올바른 손 씻기 실천과 안전한 음용수 확보 등을 당부했다.
성묘나 벌초할 때에는 발열성 질환을 경계할 것을 당부했다. 쓰쓰가무시ㆍ렙토스피라증ㆍ신증후군출혈열 등 가을철 발열성 질환 환자 대부분이 추석 연휴를 전후한 9~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발열성 질환을 예방하려면 성묘나 벌초, 도토리나 밤 줍기 등 야외활동에는 기피제를 뿌리거나 긴 소매, 긴 바지, 양말, 장화 등을 착용해야 한다. 야외활동 후 두통ㆍ고열ㆍ오한 등 증상이 있거나, 벌레에 물린 곳이 있으면 지체 없이 보건소나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올해 해외 유입 감염병 사례가 증가하는 점을 감안해 추석 연휴에 해외 여행 계획이 있는 경우는 질병관리본부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홈페이지에서 여행 목적지별 감염병 발생 정보를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동남아에서는 콜레라ㆍ세균성이질 등 수인성 감염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므로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음식물을 반드시 익혀 먹을 것을 권고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추석 연휴 중 집단 환자 발생에 대비해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하고, 전국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질병정보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