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위원장은 22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2차 금융개혁회의에서 “금융개혁의 과제들을 지속적으로 점검해서 시스템으로 안착시키는게 금융당국의 목표”라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임 위원장은 “이를 위해서는 현장의 체감도가 중요하다”면서 “금융개혁자문단이 금융개혁 과제들을 당국이 실천하는지, 현장에서 얼마나 체감하는지 평가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금융개혁의 주요 과제들이 법령 개정보다는 실무자의 인식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고 임 위원장은 강조했다. 그는 “이번 회의의 안건 중 하나인 금융회사에 대한 검사 및 제재 관행 개선은 법령 개정이 아니라 현장 실무자의 마인드와 업무 방식을 바꾸는게 핵심”이라며 “현장이 바뀌어야 개혁의 진정성을 담보할 수 있고 금융회사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민상기 금융개혁회의 의장 역시 인사말을 통해 “그 동안 금융회사에 대한 검사 및 제재를 포함한 금융개혁과 관련해 수차례 개선방안을 마련했지만 현장 실무자까지 변하지 않아서 여전히 문제가 많다는게 시장의 평가”라면서 “오늘 논의할 개혁 방안은 선진국 사례를 적극적으로 참고해서 방향이 아닌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메뉴얼화 하는데 중점을 둘 계획”이라고 말했다.
민 의장은 또 “검사·제재 방안이 금융당국의 일하는 방식에 대한 문제라면 자본시장 활성화 방안은 금융시장이 나갈 지향점”이라면서 “한국 금융도 은행에서 자본시장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금융개혁회의에는 임 위원장과 민 의장을 비롯해 진웅섭 금융감독원장, 안동현 금융개혁 자문단장 등 24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금융회사의 검사 및 제재 개혁방안과 아울러 코넥스시장 활성화, 파생상품시장 활성화, 비상장주식 장외거래 인프라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