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일제히 프라이빗뱅킹(PB) 부문의 리서치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27일 금융계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최근 들어 PB 분야의 리서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 인력을 확충하는 한편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는 자본시장통합법(자통법) 시행을 앞두고 금융자산이 기존 예금에서 투자상품을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거액 자산가들을 중심으로 투자 상품에 대한 맞춤형 컨설팅을 요구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어 리서치 역량을 강화하는 게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신한은행은 PB고객부문 산하에서 리서치 및 상품개발 등을 전담하는 포트폴리오 매니지먼트(PM)팀에 채권 전문가와 증권사의 상품개발 등을 전담했던 금융전문가를 보강했다. 이들은 국내외 시장동향을 분석하고 고객의 수익 목표에 맞춘 최적의 투자상품을 선정하는데 주력한다. PM팀은 매일 PB팀에 시장 분석 및 펀드평가 자료 등을 제공하는 한편 고객의 투자성향에 따라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추천해 주고 있다. 이동성 PM팀장은 “얼마전까지만 해도 리서치는 투자를 돕기 위한 기능으로 증권사의 고유업무로 인식되었지만 최근 투자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은행에서도 리서치 필요성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신한은행 PB사업부의 김은정 차장은 “투자에 대한 고객 관심이 높아지면서 은행에서도 수준 높은 리서치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며 “리서치 역량을 바탕으로 고객들의 목표수익률에 맞춘 포트폴리오 자산관리 영업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민은행은 WM아카데미, PB센터장 연수, 해외연수 등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리서치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증권계열사를 통해 고객들에게 대중화된 펀드상품 이외에도 금융과 실물을 연계하는 다양한 맞춤형 투자은행(IB) 상품을 적극 추천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