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이 불분명한 간농양(간에 생기는 고름주머니) 환자는 대장암을 의심해볼 수 있으며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승원ㆍ장재영 순천향대병원 소화기병센터 교수팀은 지난 2003~2010년 원인을 알 수 없는 화농성 간농양 환자 81명 중 대장내시경을 받은 37명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8명(21.6%)에서 대장암이 진단됐다고 12일 밝혔다. 기타 장질환 환자 1명을 포함할 경우 9명(24.3%)에게서 장질환이 발생했다는 것이 의료진의 설명이다.
특히 대장질환에 따른 간농양 환자 중 당뇨가 있고 대장의 상재균(항상 존재하고 있는 균)인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이 원인인 환자의 비율이 66.7%로 나타나 이들 질환들이 높은 연관성이 있다고 의료진은 밝혔다.
정 교수는 "대장의 상재균이 대장암 표면의 궤양 부위를 통해 간 문맥(혈관)을 따라 간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대장암이 간농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며 "원인이 불분명한 간농양 환자는 대장내시경 검사를 필수적으로 받아 보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간농양이란 세균이나 기생충에 간이 감염돼 간에 농양(고름주머니)이 생기는 질환으로 간내담석ㆍ담관염 등 담도와 관련된 질환이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관련 분야 국제 저널인 '소화기병학과 간장학 저널(Journal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인터넷 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