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은 오르지 않고, 대출이자 부담은 가중되고, 주택경기 침체가 이래저래 실물경기에 빨간불을 켜게 하고 있다.
7일 금융감독원이 내놓은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현황 및 감독 방향'을 보면 지난 3월 말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1.51%로 지난해 말(1.36%) 대비 0.15%포인트 상승했다.
부실채권 규모는 20조9,000억원으로 같은 기간에 2조1,000억원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기업여신 부실이 17조5,000억원(83.4%)으로 가장 많고 가계여신(3조2,000억원∙15.3%), 신용카드 채권(3천억원∙1.3%) 순이다.
특히 가계대출의 부실채권 비율은 지난해 말 0.6%에서 0.71%로 높아졌다. 2007년 3월(0.71%) 이후 최고치다.
가계대출 가운데는 주택담보대출의 연체율이 0.64%로 2006년 9월(0.66%) 수준에 근접했다. 지난해 말 주택담보대출의 연체율은 0.54%였다.
기업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1.9%로 지난해 말(1.73%)보다 0.17%포인트 상승했다. 이 가운데 중소기업 부실채권 비율은 2.35%로 0.18%포인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 비율은 9.09%로 0.95%포인트 각각 높아졌다.
올해 1∙4분기 중 신규 부실 발생규모는 5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4∙4분기(6조6,000억원) 대비 1조2,000억원 감소했다.
금감원은 국내 은행의 위기대응 및 손실흡수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엄정한 건전성 분류기준 적용, 부실위험에 상응하는 적정 수준의 충당금(대손준비금 포함) 적립 등을 지도하고 은행별로 부실채권 목표비율을 설정해 관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