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패러다임 시프트] 대학에 벤처연구실 갖추고 투자자 소득공제제도 실시… 창업 최저자본금제도 없애

■ 해외 사례 보면

일본의 도호쿠대는 교내에 벤처연구실이라는 이름의 VBL(Venture Business Laboratory)을 갖추고 있다. 말 그대로 돈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창업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학교 측은 수시로 각 분야의 전문가 초청강연을 열어 경영시 어려운 점을 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학교에서 전폭적으로 청년 창업을 돕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일본은 청년 벤처기업 키우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일본 정부도 최근 대학발 벤처 1,000개 육성 계획을 내놓았다.

계획안 중 대표적인 것이 투자자 소득공제 제도 실시다. 일본 정부는 회사 설립 3년 이내인 벤처기업에 투자하면 투자액을 총소득에서 공제해주도록 관련법을 바꿨다. 청년 벤처기업에 민간 투자가 몰릴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소득공제라는 실질적인 인센티브가 있어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가 늘어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또 창업에 필요한 최저자본금제도도 없앴다. 일본 정부는 창업에 필요한 최저 자본금을 기존 1,000만엔에서 1엔으로 낮췄다. 사실상 폐지한 것이나 다름 없는 셈이다. 청년 벤처를 육성하겠다는 일본 정부의 의지가 엿보이는 부분이다.

관련기사



발렌베리 가문 등 대기업이 유명한 스웨덴도 최근에는 청년 벤처기업을 키우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스웨덴의 경우 스톡홀름기업가정신대학(SSED)이 스톡홀름경제대ㆍ스웨덴왕립기술대ㆍ카롤린스카의대ㆍ콘스트팍예술대 등 주요 대학과 연계해 기업가 정신에 특화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학생들은 각 대학에서 일반 강의처럼 SSES 코스를 신청해 벤처기업 창업을 위한 사업 아이디어에서부터 프레젠테이션 기술, 협상전략, 마케팅 기법 등을 배울 수 있다. 기업경영에 관한 모든 것을 학습할 수 있는 셈이다.

미국의 경우 벤처창업기업 지원제도가 잘 구축돼 있다. 미국에서는 '벤처 캐피털 커뮤니티(Venture Capital Community)'가 유망한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미국은 연구개발(R&D) 투자비용에 대한 세제혜택도 제공하고 있다.

민간 투자도 활성화돼 있다. 글로벌 기업이 된 페이스북도 당시 스무 살이었던 대학생 마크 저커버그의 청년 창업이 시작이었다. 같은 벤처기업인 페이팔의 공동창립자 피터 티엘이 초기에 50만달러를 투자한 데 이어 벤처캐피털과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수억달러를 지원해줬다.

장후석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대기업 위주로 경제를 이끌었던 스웨덴과 창업률이 매우 낮았던 일본까지 청년 벤처기업 키우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미국처럼 청년 벤처창업으로 글로벌 기업이 나올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찾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