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기계류 동남아등서 고전엔저현상이 심화하면서 일본ㆍ동남아시아ㆍ중동 등 일부 시장에서 우리 기업들의 수출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OTRA는 23일 주요 교역국 16개 무역관을 통해 조사한 '엔저에 따른 수출시장 여건 변화 및 대책' 보고서에서 엔화 결제비중이 큰 일본ㆍ동남아 시장에서 엔저가 일본 제품의 수출가격에 반영되고 있으며 가격경쟁이 심한 중동에서도 일본 제품의 가격인하로 우리 지ㆍ상사들이 본사에 가격조정을 요청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국ㆍ유럽연합(EU) 등 선진국 시장과 중국ㆍ홍콩ㆍ러시아ㆍ동구ㆍ중남미 등 대부분의 시장에서는 염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품목별로는 자동차ㆍ자동차부품의 경우 선진국 시장에서는 엔저의 영향이 크지 않지만 엔화가 달러당 140엔대를 돌파하면 충격이 클 것으로 예상되며 중동시장에서는 이미 가격경쟁이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철강도 일본 및 동남아에서 일본 기업들이 가격인하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기계류는 미국ㆍ중국ㆍ일본ㆍ동남아 등에서 일본 제품과의 가격차가 5∼10% 정도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반도체ㆍ가전ㆍ섬유ㆍ석유화학 제품 등은 해외생산 비중이 높거나 일본 제품과 경쟁이 치열하지 않아 큰 영향이 없다고 KOTRA는 밝혔다.
KOTRA의 한 관계자는 "엔저에 따라 일본기업이 가격을 인하하더라도 엔화 결제의 경우 거래선 변경 등 본격적인 영향을 받기까지는 3∼6개월, 달러 결제는 6∼12개월이 걸리므로 당장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며 "그러나 엔약세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동남아 시장에 대한 수출경쟁력 유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영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