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캄차카반도 동쪽 해역에서 규모 8.7의 강진이 발생하면서 일본 기상청이 홋카이도부터 규슈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 전역에 쓰나미 주의보를 발령했다.
30일(현지시간) NHK에 따르면 일본 기상청은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최대 1m”라며 “해안과 하천 하구 인근에서는 접근을 피하고, 바다에 나가 있는 경우 즉시 대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미국 태평양쓰나미경보센터(PTWC)도 러시아와 일본에 대해 “향후 3시간 이내 위험한 쓰나미가 도달할 수 있다”며 경보를 발령했다.
쓰나미 주의보는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 동부와 중부를 비롯해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치바현 구주쿠리·외보, 오가사와라 제도, 시즈오카현, 미에현 남부, 와카야마현, 미야자키현 등 태평양 연안 전역에 발령됐다.
쓰나미 도달 예상 시각은 지역별로 30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2시까지다.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 동부와 중부는 오전 10시, 아오모리현과 이와테현·미야기현은 오전 10시 30분 전후, 후쿠시마현은 오전 11시, 이바라키현과 치바현은 오전 11시 전후에 도달이 예상된다. 오가사와라 제도와 시즈오카현·미에현 남부·와카야마현은 오전 11시 30분 전후, 미야자키현은 오후 12시 전후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기상청은 해당 시간 전후로 쓰나미가 연안에 도달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조석과 겹쳐 피해 우려가 커질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
국내 영향은 미미할 전망이다. 기상청은 “캄차카반도 강진이 국내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지진 규모를 고려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한반도와 캄차카반도 간 지리적 거리와 일본의 완충 역할을 근거로 제시했다. 쓰나미가 동해안에 도달하는 시간은 5~6시간 후로 예측된다.
앞서 미국 태평양쓰나미경보센터(PTWC)는 국내 해안 도달 쓰나미 높이를 조위 기준 0.3m 미만으로 분석했다. 이는 일상생활에 실질적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이다.
한편 이번 지진의 진앙은 인구 약 18만7000명이 거주하는 러시아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서 남동쪽으로 약 136㎞ 떨어진 해역이며 진원의 깊이는 약 19㎞로 관측됐다.